보훈정책 혁신 국회세미나

  • 등록 2020.11.16 02:08:38
크게보기

11월 11일 오후 2시, 국회 도서관 소회의실

“국가유공자 지정과 PTSD 개선 정책과제”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이사장 박용천)는 2020년 11월 11일 오후 2시 국회 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천안함생존자예비연전우회와 공동주관과 이명수, 윤창현 두 의원(국민의힘) 주최로 보훈정책 혁신 국회세미나를 개최했다.
  
지난 2월과 6월 두 번의 보훈정책 혁신 세미나에 이어 3번째 열린 이번 세미나는 국가유공자 지정에 있어 의사자(사회적 의인)를 비롯, 경찰, 소방, 해양경찰 등 공무원 사상자까지 국가유공자 지정을 확대하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관련 전문성과 유공자 지정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제를 중심으로 열렸다. 
 
고 임세원 교수 의사자 인정을 계기로 의사상자와 경찰, 소방 등 공직자까지 아우르는 보훈정책 혁신에 관한 김석호 교수(서울대 사회학과)의 발제는 우리 사회적 보훈 개념 도입과 제도 확대 문제를 제기했다. 김석호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의인에 대한 개념이 아직 불명확한 상황에서 의사(상)자 인정에 대한 논란과 소송이 있어왔고, 이로인해 타인을 위해 희생해도 아무런 보상도 기대할 수 없다는 냉소주의의 확산을 염려하였다. 향후 보훈처와 복지부로 나뉜 시스템을 일원화하고 심사위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고 시민의 참여를 보장하여 공공성을 제고하고 인정에 대한 논란을 불식시켜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이어 2018년 천안함생존자의 PTSD의 심각성을 처음 연구해 한겨레 보도에 나오게 했던 김승섭 교수(고려대 보건과학대)의 발제가 있었다, 김승섭 교수는  연구를 통해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이 50%에 이를 정도로 심각한 트라우마 상황을 지적하였다. 또한 이후에 대처에 있어서도 불이익에 대한 걱정이나 배려의 부족으로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한 채 유품을 찾거나 천안함을 청소하게 하는 등 부적절한 환경이 2,3차로 트라우마를 악화시키는 등 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하였다. 천안함생존자들의 국가유공자 지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보훈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이제 지루한 정치적 싸움을 벗어나 국가를 지키다 고통 받은 생존자들에게 이제 국가가 응답할 때라고 주장하였다. 
 
세 번째 발제에 나선 백종우 교수(경희대 정신건강의학과)는 천안함 생존자 전우회 전준영 회장의 책 ‘살아 남은 자의 눈물’을 인용하여 천안함 생존자들이 홀로 감당해야했던 고통의 10년과 전우회를 통해 트라우마에 갇힌 동료들을 동료가 돕는 과정을 소개하며 현재까지 국가유공자로 지정된 천암함생존자가 5명에 불과하고 그나마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7급, 즉 최하등급으로 지정되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보훈처를 보훈부로 격상하고 찾아가는 서비스를 통해 지원하는 미국의 보훈시스템을 소개하며 그 핵심에 있는 동료상담사 제도가 국내에서도 활용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사회는 안종민 미래청년연합 사무총장, 좌장은 윤석준 교수(고려대 보건대학원장)와 박용천 이사장이 맡아 진행하였고, 패널 토론에서 김민후 변호사(법무법인 원)는 고 임세원 교수의 행정소송 변론을 맡은 과정을 소개하면서 보건복지부 의사상자심의위원회가 의사자 인정을 부결했음에도 불구하고 행정법원 재판부는 임세원 교수의 구조행위가 의사에게 기대가능한 최선의 행동이었다고 명시한 판결을 제시하며 행정심판수준의 깊이 있는 증거조사로 사실관계를 확정할 수 있는 심사위원회의 개선과 전문성 강화를 제안하였다. 이찬호 국가유공자(K9자주포폭발사고)는 트라우마가 눈에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사람들이 현미경을 가지지 못했을 때 사회에서 겪는 고통을 증언하여 많은 공감을 받았다. 전준영 천안함생존자전우회 회장은 보훈제도가 군장병 뿐 아니라 의로운 시민, 경찰 등 공직자의 희생에도 폭넓게 적용되어야한다고 밝히면서 그간 미비했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관련 제도의 혁신과 함께 유공자가 스스로 치유하며 동시에 일 자리를 찾아갈 수 있는 동료상담가 제도의 마련을 주장하였다. 
 
패널토론 좌장을 맡기도 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박용천 이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고 임세원 교수의 의사자 지정과정에서 우리사회의 의로운 죽음과 희생에 대한 사회적 보훈시스템과 함께 국가유공자의 보훈에도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가 있다는 시각의 확장을 경험하였다. 향후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인정의 확대와 전문적 치료시스템 강화, 그리고 동료상담가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계기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밝혔다. 
편집부 기자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메디컴)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컴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1차 1406호 등록번호 : 서울 아03115 ㅣ등록연월일 : 2014.4.21ㅣ발행인 : 박경미 | 편집인 : 설명희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경희 전화번호 : 02-6958-5434 ㅣ 팩스번호 : 02-6385-2347ㅣ 이메일 :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주식회사 메디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