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암학회(이사장 김태유 서울의대 교수)는 15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암질환에 대한 연구동향 및 향후
암연구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대한암학회 암연구동향 보고서 2023’(이하
보고서) 발간 기념 기자간담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국립암센터(원장 서홍관)의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지원으로 대한암학회에서 발간한 이번 암연구동향 보고서는 김태용 교수(서울의대)가 발간위원장을 맡았으며, 20여명의 국내 암 연구 전문가들로 구성된
발간위원회에서 총 4개 분야(▲공중보건연구 ▲기초연구 ▲임상연구 ▲응용개발연구)의 국내외 암 연구 동향을 분석했다.
대한암학회 김태유 이사장은 “기존 국가암등록사업 보고서는 암환자의
현황 파악에 중점을 두고 있어 암 연구 현황 파악은 어려웠으나, 이번 암연구동향 보고서는 국내의 우수한
의료수준과 연구역량을 기반으로 암 연구, 진료, 정책수립의
중요한 길라잡이로서 국내 암 연구 역량을 강화하여 국민건강과 보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더해 “앞으로도 보고서의 부족한 점을 지속적으로 보완한 개정안을
발표할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대한암학회는 암 관련 연구 제안이나 정책 수립에 보다 적극적인 목소리를
낼 것이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는 암 진단 및 치료원칙, 암종별 역학통계, 국내 암 분야 기초연구 동향 및 임상시험 현황, 미래 암 진단 및
치료기술과 관련 시장 분석까지 각 분야별 암연구동향이 광범위하게 총망라됐다.
또한, 암의 사회적 의미와 암 환자에게 임상시험은 어떤 의미인지를
살펴보는 실제 암환자 인터뷰와 더불어 향후 암 연구 발전방향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각 분야 전문가들의 특별기고가 포함되어 있다.
국립암센터 서홍관 원장은 축사를 통해 “그간 수준 높은 암 통계 생성과
국가암검진 사업의 시행, 연구자들의 우수한 연구와 치료에 힘입어 우리나라의 암 5년 생존율은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보다 발전적인 암 연구
방향 제시를 위해서는 국내외 암 연구 동향 파악이 필요한데, 이번 보고서가 향후 진행될 암 연구와 국가
암 관리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 국민들에게는 암 연구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알림으로써 암 예방, 검진 및 치료, 암 생존자 관리 등 모든 분야에서 적극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서 보고서 발간위원장 김태용 교수는 보고서 주요 내용을 소개하는 발표에서
“국내 전체 질환 중 사망 1위인 암 질환 발생자 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데, 2020년 기준 전체 암 신규 환자는 247,952명으로, 2000년 대비 144,896명 증가했다”며, “암으로 진단받고 치료 중이거나 치료를 마친 암 경험 환자 수는 2020년 기준 2,276,792명으로 전체 인구의 4.4%를 차지하고 있어, 암 치료와 함께 암 생존자에 대한 사회적, 제도적 정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암 환자 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2001년
대비 2021년 암 사망률은 37.4%p 감소했으며, 암 상대생존율은 2000년
46.5%에서 2016년 70.7%로 비약적
향상을 보였다.
이에 대해 김태용 교수는 “우리나라의 높은 암생존율은 암 진단 및
치료 기술의 발전, 체계적인 국가암예방 조기검진사업으로 인한 건강검진 수검률 향상에 따른 조기암 발견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암 연구에 헌신해온 의학계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 그리고 암 예방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국민 모두가 노력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국내외 암 임상시험 현황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20년 이후
미국, 중국, 프랑스 등에 이어 글로벌 8위의 임상시험 수행 국가로, 위암,
간암 임상시험은 전세계 3위를, 폐암, 유방암은 세계 10위권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글로벌 암 관련 시장은 전체 치료제 및 진단 시장의 약 10~18%를
차지하며 2025년 3,27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암 관련 치료제 및 진단 시장의 규모는 2018년 11억 달러에서 2025년에는 22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암 치료제의 실제 임상에서의 사용은 규제기관의 승인이 중요한데, 김태용
교수는 “항암제의 국내 승인은 미국 대비 평균 3~4년 정도
늦고, 급여까지는 추가적으로 1~2년이 소요되어, 실제 국민에게 사용되기 까지는 통상 4~6년의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며, “국내 환자들에게 글로벌 표준치료가 늦게 도입되는 것은 물론
임상시험의 기회에도 제한이 생길 수 있어 신약의 허가와 급여도입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고 제안했다.
김태용 교수는 마지막으로 “여전히 암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이 많기 때문에
암 연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부도 여러 부처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암 연구를 지원하고 있으나 제도적으로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다. 정부의 지원, 그리고 국민의 관심과 지지를 바탕으로 의학계의 암연구가
잘 진행된다면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의 암 연구 역량을 유지할 뿐 아니라 국민건강과 보건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한암학회 오승택 회장(가톨릭의대 교수)은 “국내의 경우 2020년 25만명이 새로 암에 걸리고, 8만명이 암으로 사망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암으로 인해 생명과 건강, 일상의 행복을 잃고 있다”며, “대한암학회는 1974년 창립 이래 기초연구와 임상연구를 포함하는
국내 최대의 다학제 암연구단체로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암 기초 및 임상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암연구자들에게는 발전적인 암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암 관련 정책입안자들에게는 정책적 제언을 전하기를
바란다”고 보고서 발간에 대한 소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