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리베나®20, 한국인 포함
임상에서 기존 폐렴구균
백신(PCV13,
PPSV23) 대비 OPA GMT(기하평균역가)에 대한
비열등성 확인8
● 폐렴구균 백신 미접종자
외에도 기존 PCV13 또는 PPSV23 접종자의 옵션
중 하나로 PCV20 접종 권고13,14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 지난 22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의료진을
대상으로 뉴 에라 프리베나®20 런칭 심포지엄(Pneu Era
Launching Symposium)을 성료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프리베나®13 대비
7가지 혈청형이
추가되어** 현재 허가된 국내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
중 가장 넓은 혈청형 커버리지*(2025.4.1 기준)를 갖춘 폐렴구균 백신 프리베나®20[1],[2]의 임상적 가치를 조명하고, 폐렴구균
백신(Pneumococcal vaccine) 접종의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한다는
의미를 담아
‘뉴 에라(Pneu
Era)’를 주제로 개최됐다.
행사는 현대내과의원 이정용
원장의 환영사로
시작되었으며, 이어 이재갑 한림의대 감염내과
교수가 ▲’PCV20의
Pneu Era: 국내 폐렴구균 질환 역학을 통한 PCV20 허가 의미’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어 오범조 서울의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PCV20의 가치를 중심으로-고위험군에서의 폐렴구균
질환 예방 중요성’에 대해 소개했다.
첫 번째 발표를 진행한 이재갑 교수는 “2014년부터 2019년 국내 16개의 병원을 포함해 진행된 역학 연구에 따르면, 침습성 폐렴구균 환자에서 기존
PCV13에 포함되지 않은 비백신 혈청형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3]”고 설명했다. 또한 “2001년부터
2011년 국내 10개 병원을 포함해 진행된 후향적 코호트 연구에 따르면, 성인에서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 치명률(Case-fatality
rate)은 30.9%에 달해[4],[1]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한 질환”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질병관리청 연구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1년 7월까지 발생한 성인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 사례 중 약 51%(59/116례)가 최근 허가된 프리베나®20에 포함된 혈청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2]”며, “프리베나®20은 허가 임상 뿐만 아니라[6],[3], 한국인을 포함한
60세 이상 동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3상 임상에서도
PCV13과 공유하는 13개 혈청형(1, 3, 4, 5, 6A, 6B, 7F, 9V, 14, 18C, 19A, 19F,
23F )에 대해 OPA GMT(기하평균역가)에 대한 비열등성을 입증했으며,
PPSV23과 공유하는 7개 혈청형 중 6개 혈청형(10A, 11A,
12F, 15B, 22F, 33F)에 대해서도 비열등한
면역반응을 확인했다[7]”고 덧붙였다.
두 번째 발표를 진행한 오범조 교수는 “폐렴구균
감염 위험은
50세 이상 고령층[8], 만성질환자[9], 흡연자9 또는 호흡기 질환이 더 흔하게 발생하는 겨울과
이른 봄철에
주의가 필요하다10”고 전하며, “2006년에서
2010년 미국 내 3개 보험청구를 활용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 건강한 성인 및 위험군 65세 이상의 연령대별 폐렴구균
질환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50-64세 인구에서는 폐렴구균
및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IPD)
발생률이 각각 약 1.8배,
약 2.5배로 위험인자가 없는 인구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0]”고 강조했다.
또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예방접종자문위원회(ACIP)는 폐렴구균 백신 접종 권고 연령을 65세에서
50세로 낮춤으로써
감염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나이에 더 많은 성인이 폐렴구균 질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밝힌 바 있다.12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50세 이상에서 프리베나®20은 기존 폐렴구균 백신 미접종자 뿐만 아니라 기존 프리베나®13 및 PPSV23을 이미 접종한 환자의 접종 옵션 중 하나로도 제시되고
있다[11],[12]”고 설명했다.
이에 최근 대한감염학회에서도 2025년 성인예방접종 개정안을 통해 고령층과 고위험군의
질병 부담이
높은 점과
PCV15과 PCV20의 임상시험 결과, 성인에게
폐렴구균 백신 접종을 단순화할 필요가 있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65세 이상 성인에게 20가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PCV20)을
1회 접종 또는 15가 폐렴구균 백신(PCV15)와 폐렴구균 다당질 백신(PPSV23)을 순차접종할 것을 권고했다.[13] 폐렴구균
백신 미접종자
뿐만 아니라
기존 PCV13 및
PPSV23 기접종자에서도 프리베나®20 접종을 권고했다.14
송찬우 한국화이자제약 프라이머리케어(Primary
Care) 사업부 부사장은 “프리베나®20은 국내 허가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
중 가장 넓은 혈청형 커버리지*를 보유함으로써1,2(2025년 4월 기준) 고령층의
폐렴구균 질환 예방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게 되었다”며,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2003년 국내 도입된 PCV7, 2010년 프리베나®13에 이어16 프리베나의
20년 이상 경험과 헤리티지†를 잇는 폐렴구균 백신 프리베나®20의 임상적 가치와 폐렴구균 백신의 최신 가이드라인을 공유하게
돼 뜻깊게
생각하며, 앞으로도
더 많은 성인들이 폐렴구균으로
인한 중증 질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프리베나®20은 6주에서
18세 미만의
영아, 어린이
및 청소년과
18세 이상의
성인 대상으로
접종가능한 폐렴구균
백신이다.1 프리베나®20은 프리베나®13 대비 7가지 폐렴구균 혈청형**이 추가됐으며, 국내 승인된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
중 가장 넓은 혈청형 커버리지*(2025.4.1 기준)를 보유하고 있다(혈청형
1, 3,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33F). 1,2
*2025/4/1 기준
현재
허가된
폐렴구균 PCV 중
가장
많은
혈청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프리베나®20 포함
폐렴구균
혈청형 1, 3,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33F1,2
**프리베나®13 대비 프리베나®20에 추가된 7가지 혈청형: 8, 10A,
11A, 12F, 15B, 22F, 33F1,[14]
† 2003년 PCV7 (4, 6B, 9V, 14, 18C, 19F, 23F)이 국내 도입되었고, 이후
2010년 프리베나®13이 국내 도입되어 필수예방접종 항목으로
포함되었습니다.[15] 2024년
11월 기준,
현재 국내에서는
PCV7은 유통 중지되었고, 프리베나®13이 허가 및 시판 유통 중이며, 프리베나®20이 허가되었습니다.1,[16]
[1] [Study Design] 본 다기관 후향적 코호트 연구는 2001년 1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입원 환자 중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IPD)의 비율, 사망률, 직접 의료비용을 추정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국내 10개 대학병원에서 18세 이상
IPD 환자 970명(평균 연령 60.9세)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령 및 위험군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특성, 임상 양상, 질병
부담을 분석했다.5
[2] [Study
Design a] 폐렴구균 연구에 참여하였던 연구자/연구기관들로 구성된 기존 폐렴구균 감염 감시체계를 보완하여 Korean
Adult Pneumococcal Infection Network (KARINet) 구축, 증례 정의 및 수집 균주의 기준 검토, 증례기록지 (CRF) 검토 및 작성 방법 검토하였음. 전국 분포의 15개 참여병원을 포함한 네트워크 감시체계 (KAPINet)구성하고 2018년 9월부터 2021년 6월말 연구기간동안 15개 연구참여병원에서 160건의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 사례가 발생하였음을 확인. 2018년 9월부터 2021년 6월 말까지 5개 기관에서 지역사회획득폐렴/폐렴구균폐렴 감시를 시행하였고 총 4903건의 지역사회획득폐렴 및 466건의 폐렴구균 폐렴이 발생하였음을 확인.6 2018-2021년 7월 사이 발생한 성인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에서 수집된 혈청형(116균주) 중 PCV13 (37례), 7가지 추가 각각(8: 1,
10A:5, 11A: 5, 12F:1, 15B: 5, 22F: 4, 33F: 1) 총 59례 확인.
[3] 18세 이상의 폐렴구균 백신 접종 이력이 없는 성인 3,902명 대상으로 다기관,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임상 3상 시험 진행. ①18-49세(N=448) ②50-59세(N=445) ③60세 이상(N=3009)의 참가자들 중 18-49세 환자군과 50-59세 환자군은 각각 프리베나®20, 프리베나®13 두 그룹으로 나누어 접종 1회 실시했다. 60세 이상 환자군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프리베나®20 또는 프리베나®13 1회 접종 후 식염수(Saline) 또는 PPSV23을 1달 후에 접종했다.6
[2]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등 정보검색>검색어 [폐렴구균 단백] .Available at: https://nedrug.mfds.go.kr/searchDrug?sort=&sortOrder=false&searchYn=true&ExcelRowdata=&page=1&searchDivision=detail&itemName=%ED%8F%90%EB%A0%B4%EA%B5%AC%EA%B7%A0+%EB%8B%A8%EB%B0%B1&itemEngName=&entpName=&entpEngName=&ingrName1=&ingrName2=&ingrName3=&ingrEngName=&itemSeq=&stdrCodeName=&atcCodeName=&indutyClassCode=&sClassNo=&narcoticKindCode=&cancelCode=&etcOtcCode=&makeMaterialGb=&searchConEe=AND&eeDocData=&searchConUd=AND&udDocData=&searchConNb=AND&nbDocData=&startPermitDate=&endPermitD
ate= accessed on Apr 2025
[4] Song JY, et al. Clinical and economic burden of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 in adults: a multicenter hospital-based study.
BMC Infect Dis. 2013 May 4;13:202.
[6] Cannon K, et al. A trial to evaluate the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a 20-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in populations
of adults 65 years of age with different prior pneumococcal vaccination.
Vaccine. 2021;39(51):7494-7502.
[7] Essink B, Sabharwal C, Cannon K, et al. Pivotal
Phase 3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he Safety, Tolerability, and
Immunogenicity of 20-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in Adults Aged ≥18
Years. Clin Infect Dis. 2022;75(3):390-398. doi:10.1093/cid/ciab990
[8] Theilacker C. et al. PCV13 Vaccination of Adults
against Pneumococcal Disease:WhatWe Have Learned from the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mmunization Trial in Adults (CAPiTA). Microorganisms. 2022
Jan;10(1):127
[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search for Pneumococcal Disease> Chapter 17:
Pneumococcal Disease | Pink Book(Updated May 1, 2024) Available at:
https://www.cdc.gov/pinkbook/hcp/table-of-contents/chapter-17-pneumococcal-disease.html accessed on Apr 2024
[10] Shea KM, et al. Rates of pneumococcal disease in
adults with chronic medical conditions. Open Forum Infect Dis. 2014;1(1):ofu024
[11] CDC, Recommended Vaccines for Adults. Available
at: https://www.cdc.gov/pneumococcal/vaccines/adults.html, Accessed on Apr 2025
[12] CDC. Pneumococcal Vaccination. Available at: https://www.cdc.gov/pneumococcal/vaccines/index.html, accessed on Apr 2024
[15] Lee J, et al. Serotype
Distribution of Streptococcus pneumoniae from Respiratory Specimen of Children
with Pneumonia in the Republic of Korea, 2018–2022. PHWR. 2023;16(11):305-320.
[16] 질병관리청. 「예방접종의 실시기준과 방법」 지침_13
폐렴구균 감염증 (2023.06.26 기준). Available at https://url.kr/iazld2 accessed on Apr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