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M 등 국제 경쟁력 있는 학술지로 비상
홍 성 태
대한의학회 간행이사
지난 6월 13일에 톰슨로이터스(이하 톰슨 사)가 Journal Citation Reports(JCR)의 핵심자료인 인용지수(impact factor, IF) 2015를 발표하였다. 이 지수는 학술지 발행인이나 편집인뿐 아니라 연구자 모두가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수이다. 의편협 회원 학술지 254종 중 34종이 현재 톰슨 사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어 있는데 작년에 이어 금년에도 크게 약진하였다. 가장 큰 특징은 생화학분자생물학회가 발행하는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EMM)의 IF가 5.164로 5를 상회하는 기염을 토하였다. 해당 분야 289종 등재지 중에서 39위에 해당하는 높은 지수이다. 또한, 인용지수가 처음 산정되는 Journal of Stroke(대한뇌졸중학회 발행)는 4.795로 관련 분야 192종 중 22위로 첫 등장을 화려하게 장식하였고, Cancer Research & Treatment(대한암학회 발행)는 작년 지수에 비하여 거의 1이 오른 4.245를 기록하여 해당 분야 213종 중 54위에 해당하였다. 모두 대단한 비약으로 우리 학술지의 학술 역량을 전 세계에 과시하였다고 인정할 만하다. 전체 34종 의편협 회원학술지의 IF 변화는 14종 상승, 5종 하락, 11종 0.1 이내로 유지, 4종은 처음 IF가 발표되었다. 이 중에서 두 종을 제외한 32종이 국내 출판사에서 출판되고 있어서 이번 결과는 학술지 내용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국내 출판사의 출판력도 국제 경쟁력이 있음을 보여준다(표 1).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JKMS)의 IF는 1.256으로 2014년도의 1.266보다 0.01 감소 수준으로 현상 유지하였고, 이 결과는 의학일반 분야 151종 학술지 중에서 75위로 전 세계 등재학술지의 중간 위치에 있다. Total cites 4,158, IF without self cites 1.121, 5-year IF 1.379, citable items 295로 집계되어 Total cites로 보면 31위에 있다. 그리 낮지도, 높지도 않은 수준이지만 이 위치를 유지하는 데에도 여러 사람의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세계적으로 보면 2015년 SCI(E) 등재 학술지가 총 8,778종이다. 우리나라는 모두 105종으로,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보면 미국 2,927종, 영국 1,815종, 네덜란드 692종, 독일 591종, 일본 234종, 중국 185종, 프랑스 172종, 러시아 146종, 이탈리아 120종 등으로 전체 81개국 중에서 상위권에 속한다.
의학 학술지 중에서 가장 높은 IF를 기록한 것은 131.723의 CA_A Cancer J Clinicians이고, 종합의학 분야는 N Engl J Med 59.558, Lancet 44.002, JAMA 38.684, BMJ 19.697, Ann Int Med 16.440, PLOS Med 13.585의 순이다. 과학계 학술지의 대명사 격인 Nature는 38.138, Science 34.661, Cell 28.710을 기록하였다.
톰슨 사 인용지수에 대하여 비판적 시각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톰슨 사와 IF 상위권 학술지들이 이 지수를 이용하여 막대한 이윤을 독점적으로 취하면서 수많은 학술지들의 눈물과 시름을 자아내게 한다는 것, 선정과정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학술지 평가가 아니라 연구자의 평가에 무소불위의 영향력을 끼친다는 지적이 그것이다. 세계의 무수한 학술지 중에서 그 우열을 가리는 데에 이만큼 좋은 지수가 없지만, 연구자 개인의 연구력 평가에는 부적절하므로 논문이 출판된 학술지의 IF는 참고자료로만 사용하고 연구자 평가는 평가 목적에 맞는 자료를 활용하자는 주장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 우리도 이 점을 앞으로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여러 지적에도 불구하고 학술지 평가에서는 톰슨 사 IF를 능가하는 지수가 없다. 올해 의편협 창립 20주년을 맞아서 5점대 IF에 해당 분야 상위 20% 이내로 진입한 회원 학술지가 나온 것은 특히 의미가 크다. 더 많은 우수한 학술지를 등재하고 등재된 학술지는 인용지수를 더 높이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이제는 국내에서 출판하는 우리 학술지가 우리의 의학연구 실력에 걸맞은 국제적인 위상을 갖추기 시작하였다고 판단한다.
표 1. 의편협 회원 학술지의 2015 톰슨로이터스 JCR IF
학술지명 | Impact Factor | Total Cites |
2014 | 2015 | 2014 | 2015 |
Allergy Asthma Immunol Res | 2.425 | 2.309 | 563 | 798 |
Ann Dermatol | 1.393 | 1.325 | 636 | 793 |
Ann Lab Med | 1.472 | 1.87 | 224 | 408 |
Ann Surg Treat Res | NA | 0.73 | - | 104 |
Asian Nurs Res* | 1 | 0.849 | 138 | 181 |
Biomol Ther | 1.727 | 2.127 | 370 | 544 |
Cancer Res Treat | 3.318 | 4.245 | 714 | 993 |
Clin Exp Otorhinolaryngol | 0.852 | 0.855 | 318 | 384 |
Clin Psychopharmacol Neurosci | NA | 1.5 | - | 193 |
Exp Mol Med* | 3.446 | 5.164 | 2,212 | 2,629 |
Gut Liver | 1.81 | 2 | 854 | 1,075 |
Int Neurourol J | 1.061 | 1.344 | 166 | 201 |
J Adv Prosthodont | 0.64 | 0.844 | 190 | 301 |
J Breast Cancer | 1.578 | 1.854 | 396 | 556 |
J Clin Neurol | 1.7 | 1.876 | 537 | 690 |
J Gynecol Oncol | 2.494 | 2.522 | 511 | 578 |
J Korean Acad Nurs | 0.38 | 0.549 | 359 | 482 |
J Korean Med Sci | 1.266 | 1.256 | 3,710 | 4,158 |
J Korean Neurosurg Soc | 0.636 | 0.599 | 1,085 | 1,209 |
J Neurogastroenterol Motil | 2.296 | 1.771 | 566 | 641 |
J Periodontal Implant Sci | 1.145 | 1.108 | 224 | 250 |
J Stroke | NA | 4.795 | - | 244 |
J Korean Surg Soc | 0.73 | 0.973 | 384 | 453 |
J Vet Sci | 1.164 | 1.076 | 847 | 888 |
Korean Circ J | 0.753 | 0.706 | 544 | 609 |
Korean J Intern Med | 1.426 | 1.679 | 748 | 943 |
Korean J Orthod | 1.173 | 1.162 | 191 | 265 |
Korean J Parasitol | 1.151 | 1.027 | 1,225 | 1,037 |
Korean J Physiol Pharmacol | 1.378 | 1.544 | 542 | 567 |
Korean J Radiol | 1.571 | 1.592 | 1,369 | 1,473 |
Mycobiology | NA | 0.573 | - | 407 |
Nutr Res Pract | 1.443 | 1.416 | 613 | 801 |
Psychiatry Investig | 1.28 | 1.5 | 510 | 669 |
Yonsei Med J | 1.287 | 1.154 | 2,566 | 2,710 |
* 외국 출판사 발행 학술지: Asian Nurs Res, Elsevier 발행; Exp Mol Med, Nature Publishing Group 발행.
출처 : E Newsletter No. 74 (2016. 07 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