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리 숱 많아지는 법, 젊어 보이는 패션 등 외모 신경 쓰는 40대 남성
- 아보다트, 2014년 9월 만 50세까지 적응증 연령 확대 … 40대 환자 치료 옵션 확대돼
40대가 변하고 있다. 로맨틱한 소재의 드라마에 40대 남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등 40대 남성을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이 중후한 느낌의 ‘기성세대’에서 여전히 젊은 세대, 이른바 ‘영 포티(Young Forty)’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상의 변화에 따라 보다 젊어 보이기 위해 탈모 치료, 피부 미용 등 적극적으로 외모 관리를 하는 40대 남성도 늘어나고 있다.
남성형 탈모 치료 위해 병원 찾는 환자 중 40대 비율 꾸준히 증가
40대 이후 남성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탈모는 외형적 나이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지만 수술 이외에 근본적인 치료 방법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남성 탈모의 가장 큰 원인은 유전성 안드로겐 탈모, ‘남성형 탈모’다. 대표적인 치료법은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를 복용하는 것이다. 탈모를 일으키는 DHT(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억제해 탈모가 진행되는 것을 막는 원리다. 이전 치료제는 적응증 연령이 41세까지였으나, 약 3년여 전인 2014년 9월 30일 아보다트(두타스테리드)의 적응증 연령이 만 50세까지 확대되며,2 40대 남성 탈모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이 생겼다. 4
실제로 2014년부터 탈모 치료를 위해 내원하는 40대 남성 안드로겐형 탈모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안드로겐형 남성 탈모 환자 중 40대 환자의 비율이 적응증 연령 확대 전인 2013년 21.41%에서 2017년 24.19%까지 꾸준히 증가했다.1 또한, 같은 기간 전체 탈모 치료 환자 수는 크게 변화가 없었음에도 40대 환자 수는 10% 이상(2013년: 3,544명→2017년: 3,916명) 증가했다.1
탈모 치료에 늦은 나이는 없다… 효과 빠른 아보다트, 환자만족도 높아
아보다트의 적응증 연령 확대는 40대 남성형 탈모 환자들에게 비수술 치료의 기회를 열었을 뿐만 아니라,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시기를 복용 후 12주차로 앞당겨 나이 들어감에 예민한 40대를 비롯해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국적 임상시험을 통해 아보다트 0.5mg를 복용한 환자군과 피나스테리드 1mg를 복용한 환자군을 분석한 결과, 복용 12주차에 2.54cm 직경의 모발 수 평균값을 측정했을 때 아보다트를 복용한 환자군의 평균값이 82.3점에 이르러 피나스테리드를 복용한 환자군(50.9점)보다 61.7% 우수한 모발 수 증가 효과를 보였다.5 복용 24주차 시점에도 아보다트가 피나스테리드 대비 58.6% 더 우수한 모발 수 증가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한국인 남성 탈모의 80%를 차지하는 M자 탈모 에 있어 70.5% 우수한 모발 수 증가 효과를 확인했다. 5
이 같은 결과는 기전의 차이에서 나타난다. 안드로겐형 탈모의 원인인 5알파환원효소에는 제1형과 제2형이 있다. 피나스테리드 제제는 제2형만 억제하는 반면, 아보다트 등 두타스테리드 제제는 제 1형과 제2형을 모두 억제해 혈중 DHT 농도를 92%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3 한편, 이상반응 발현율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다. 다국적 임상시험 결과, 위약을 복용한 환자군과 아보다트를 복용한 환자군, 피나스테리드 1mg을 복용한 환자군의 이상약물반응 발현율은 각각 15%, 16%, 20%로, 임상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5 성기능 관련 이상반응의 경우에도 피나스테리드를 복용한 환자군과 리비도 감소, 성교 불능, 사정 장애 등의 발생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5
아보다트에 대한 시장 반응은 긍정적이다. 다국적 임상 시험 중 탈모 치료제를 복용한 남성 환자가 모발 성장에 대한 만족도를 스스로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아보다트는 위약 대비 32%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기존 치료제는 위약 대비 14% 높은 환자 만족도를 보였다.5 실제로 아보다트는 2009년 국내 도입된 이후 매해 두 자리 수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경구용 탈모 치료제가 판매율이 가장 많이 높은 국가인 일본에서는 지난 11월, 아보다트가 출시된 지 1년 6개월만에 판매액 기준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한 바 있다.
References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3단질병 성별/ 연령10세구간별 현황, 안드로젠탈모증, 2013~2017
2 아보다트 품목허가증 (2014.9.30)
3 G.S. Choi, J Korean Med Assoc, 2013, 56(1):45-54
4 프로페시아정 1밀리그램(피나스테리드) 제품설명서, 2014-01-30
5 Walter Gubelin, et al, J Am Acad Dermatol, 2014;70:489-498
6 I. K. Yeo, et al, Clinical and Experimental Dermatology, 2014;39(1)25-29
7 Blumeyer A, et al, J Dtsch Dermatol Ges, 2011;9(6):S1-57
8 Olsen E.A. et al, J Am Acad Dermatol, 2006;55(6):1014-23
9 GSK Data on File (UBIST 2012-2016)
10 GSK Data on file (Global IMS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