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칼럼

큰 그림을 위하여

바이오의 국가미래전략과 관련하여 회의에 참여할 기회가 있었다. 

늘상 하던 말을 되풀이했다.

비임상과 임상에 대한 정부의 지원규모를 비교해 보면 과제수나 지원규모를 비교해도 압도적으로 비임상 쪽이 많다.

기초연구를 위한 다양한 인프라지원이라는 취지는 충분히 이해가 되나 쥐잡는 연구에 너무 지원이 편중이 되어 있다는 분위기도 있으니 앞으로는 규모가 더 크고 성공확률에 더 다가갔다고도 볼 수 있는 임상쪽에 신경을 써주기를 바란다는 취지의 말을 던졌다.

기초연구에 일정하게 연구비를 분배하는 방식이 마치 연구자들에게 연금을 나눠주는 듯한 연상을 떠올리게 한 적도 있었다.

내가 한 말을 받아 구체적인 의견이 나왔다.

임상지원의 한 방법으로 대조약의 구입비용이 상당한 부담이 되니 어차피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대조약을 보험가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해 달라는 건의였다.

예를 들어 바이오시밀러의 3상임상의 경우 대조약구입비는 종종 백억원대가 넘어 간다는 게 업계의 상식이다.

정부 자문역을 하는 쪽으로부터 그것은 외자회사가 이익을 보기 때문에 곤란하다는 반응이 나왔다. 

놀라운 이분법이다.

로칼기업과 외자기업.

그리고 수출은 선이고 수입은 악이라는 압축성장시대의 유산.

어차피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환자는 그 약을 써야 하는 사람들이고 구입약가를 정가대신 보험약가로 구매할 수 있으면 임상시험을 시행하는 회사는 약가의 70-80%를 덜 부담해도 된다.

대조약을 사용하도록 국제적인 스탠다드로 임상프로토콜이 디자인되는 한, 스폰서는 어떤 가격으로든 약은 구입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당장 대답하기는 절차상 해야 할 일도 있으니 긍적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기대했다면 너무 순진한 접근이었을까?

외자회사든 로칼회사는 대조약을 가지고 있는 회사는 대조약구입의 혜택으로 매출이 늘어나는 효과는 있을 것이다.

그게 전부다.

반면 보험약가로 대조약 구입시 70-80% 혜택을 본 회사는 임상시험비 부담을 덜어 새로운 연구로 영역을 넓힐수도 있다. 



바이오의 미래전략에는 이미 글로벌 수준의 위탁연구기업(CRO)를 육성하는 것이 한 축으로 들어있기도 하다.

임상시험 자체를 산업으로 육성시키겠다는 의지로 이해가 된다.

제약산업의 파이자체를 키우면서 글로벌수준의 CRO육성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다면 위와 같은 이분법은 더더구나 의미가 없어진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