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단신

바커, 건축용 폴리머 파우더 생산 개시


바커(Wacker Chemie AG)가 20개월에 걸친 공사 끝에 울산 공장의 건축용 폴리머 파우더 생산 설비를 증설하여 가동 준비를 완료했다. 이번 증설은 아시아 시장 내 VAE 디스퍼젼 및 건축용 폴리머 파우더 수요를 겨냥하고 생산량을 확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현지 공장을 증축하고자 하는 전략 계획의 일환이다. 

바커는 업계 1위를 자랑하는 VAE 디스퍼젼, 건축용 폴리머 파우더 전문 제조 기업이다. 두 가지 모두 건축용 자재 생산 시 없어서는 안 될 제품이다. 현재 아시아 지역 건설 경기는 호황세를 보이며, 건설 수요 증대와 함께 고품질, 고효율, 친환경 솔루션을 찾는 수요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바커는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VAE디스퍼젼 및 건축용 폴리머 생산력 확대와 역내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폴리머 파우더 생산 설비 증축은 바커가 추진 중인 울산 공장 확장 계획의 분수령이 되고 있다. 



바커 울산 공장에서는 이미 VAE 디스퍼젼을 생산 중에 있다.  새로운 건조기에서는 액체 상태인 VAE 디스퍼젼을 분무기에 주입하여 고온의 기체로 변환하면서 단시간에 미립 분말로 건조시킨다. 새로운 설비의 생산 능력은 연간 총 8만 톤에 달하며, 이는 동종 업계 세계 최대 규모의 생산시설이다. 이번 증설로 울산 지역에는 약 60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울산 현장에서는 건축용 폴리머 파우더 제조시 원료로 사용되는 VAE 디스퍼젼 반응기 증축도 한창 진행 중이다. 반응기는 2020년 1분기 중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VAE 디스퍼젼을 시작으로 건축용 폴리머 파우더에 이르기까지, 전체 생산 체인을 포괄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비를 증축하기 위해 바커가 투자한 금액은 약 890억원에 달한다. 

바커 폴리머 사업부 총괄 피터 스모(Peter Summo)사장은 “당사 바인더는 건축 자재의 특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건축 과정에서 자재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제품”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울산 신규 생산 설비가 아시아 시장 성장세에 발맞춰 납품 경로와 시간을 보다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전망했다. 



울산 공장에서 현재 생산 중인 건축용 폴리머 파우더는 바커의 대표 브랜드 중 하나인 비나파스(VINNAPAS®) 제품군에 속하는 것으로, 신규 분무 건조기는 VINNAPAS® 5010 N, VINNAPAS® 5044 N 등을 생산하는 데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바인더는 고품질 타일 접착제, 미네랄 플라스터, 셀프 레벨링 컴파운드, 에너지 절약형 외단열 마감 시스템(ETICS/EIFS), 건축용 접착제, 스무딩 컴파운드, 조인트 필러 등을 제조하는 데 쓰인다. 

바커케미칼코리아(Wacker Chemicals Korea) 조달호 대표이사는 “설비 투자를 통해 울산 지역 경제에 기여함과 동시에 건축용 폴리머 파우더로 제품을 개선 및 고품질화하려는 현지 건축 자재 제조 업체가 가장 먼저 찾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포부를 밝혔다. 


바커(WACKER POLYMERS) 소개

바커는 8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폴리머 바인더 전문 제조 기업으로서 첨단 바인더와 초산비닐수지 및 초산비닐 공중합체 기반 폴리머 첨가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생산 제품 형태로는 건축용 폴리머 파우더, VAE 디스퍼젼, 고체수지, 일반수지 등이 있다. 각 제품은 건축용 화학물질, 페인트, 표면코팅제, 접착제, 부직포는 물론 재생 가능 자원 기반 폴리머 물질, 섬유 복합체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바커는 현재 독일과 중국, 한국, 미국에서 폴리머 바인더 생산 공장을, 전 세계 주요 거점 지역에서 영업사무소와 기술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바커(WACKER)

바커는 1980년대 중반 한국 시장에 진출하여 다양한 화학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1996년에는 한국 현지법인인 바커케미칼코리아(Wacker Chemicals Korea)를 설립한 이후, 2008년 초부터 울산 공장에서 VAE 디스퍼젼을 생산하고 있으며 울산 공장과는 별개로 진천 실리콘 공장도 운영하고 있다. 바커는 안양과 판교에 위치한 기술 연구소를 통해 현지 고객사와 협력사에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2012년에는 판교 테크노밸리로 영업 사무소를 이전했다. 현재 이곳에는 연구 개발 센터를 비롯해 기술 교육을 실시하는 바커 아카데미(Wacker Academy)가 함께 자리하고 있다. 바커케미칼코리아의 2018년도 연매출은 전년 대비 15% 향상했다.


바커 기술진이 신규 설비를 둘러보며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상황실에서 생산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모습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