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번 | 구분 | 실내 | 실외 | 계 | ||||||||||
집 | 건물 | 기타 | 길가 | 주거지주변 | 강가 | 논/밭 | 산 | 운동장 | 작업장 | 스케이트장 | 기타 | |||
1 | 인천 서구 | 2 | 1 | | 7 | | | | | | | | | 10 |
2 | 경기 평택시 | 1 | | 1 | | 1 | | 1 | | | 1 | | | 5 |
3 | 강원 춘천시 | 4 | | | 1 | | | | | | | | | 5 |
4 | 경기 화성시 | 2 | | | | 1 | 1 | 1 | | | | | | 5 |
5 | 전북 군산시 | | | | | 2 | 2 | | | | | | | 4 |
6 | 인천 부평구 | 1 | | | 1 | 1 | | | | | 1 | | | 4 |
7 | 전북 정읍시 | | | | | 1 | | 1 | | | | | 2 | 4 |
8 | 충남 서산시 | 1 | | | 1 | | | 1 | 1 | | | | | 4 |
9 | 충남 당진시 | | 1 | | | 1 | | | | | | | 2 | 4 |
10 | 경남 함양군 | 1 | | | | 2 | | | | 1 | | | | 4 |
11 | 충북 제천시 | | | | 1 | 1 | | | 1 | | | 1 | | 4 |
12 | 충북 충주시 | | | | 2 | 1 | | | | | | | 1 | 4 |
13 | 서울 중구 | | | | | | | | | | | | 3 | 3 |
14 | 전남 강진군 | 2 | | | | | 1 | | | | | | | 3 |
15 | 인천계양구 | 1 | | | 1 | | 1 | | | | | | | 3 |
16 | 강원 원주시 | | | | 1 | 1 | | | | | 1 | | | 3 |
17 | 경기 시흥시 | | | | 1 | 1 | | | | | | | 1 | 3 |
18 | 경남 김해시 | | | | | | 1 | 1 | | 1 | | | | 3 |
19 | 인천 강화군 | | | | | | | | 1 | | | | 2 | 3 |
20 | 경북 울진군 | | | | 1 | 1 | | | | | 1 | | | 3 |
21 | 경기 남양주시 | | 1 | | 1 | 1 | | | | | | | | 3 |
22 | 대구 북구 | | | | 3 | | | | | | | | | 3 |
23 | 전남 나주시 | | | | | 2 | | 1 | | | | | | 3 |
24 | 경기 김포시 | | | | 1 | | | | | | 2 | | | 3 |
25 | 충남 천안시 서북구 | | | | 3 | | | | | | | | | 3 |
26 | 대전 중구 | | | | 2 | | | | | 1 | | | | 3 |
27 | 부산 서구 | 1 | | | 1 | 1 | | | | | | | | 3 |
* 응급실감시체계로 한랭질환자 3명 이상 신고된 시군구
[기타] 신고된 한랭질환자 중 76명(33.2%)이 음주상태, 5명이 노숙인으로 보고되었다.
한랭질환은 심각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지만 건강수칙을 잘 지키는 것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므로, 한파 시 내복‧장갑‧목도리‧모자 등으로 따뜻하게 몸을 보호하는 등「한파대비 건강수칙」을 준수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고령자와 어린이는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 유지에 취약하므로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에 신경 써야 하고, 만성질환(심뇌혈관질환, 당뇨, 고혈압 등)이 있는 경우에는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등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술을 마시는 경우 신체는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못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하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저체온증은 응급상황이므로 발생 즉시 병원에 내원해야 하며, 적절한 조치가 없으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어 주변의 관심과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올 겨울(12월, 1월)이 평년보다 기온이 높아 2월 초 갑작스런 한파에 신체 적응력이 떨어질 수 있어 주의를 요하고, 「한파대비 건강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 밝혔다.
또한, “한랭질환자가 길가와 주거지 주변 등 실외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으나 실내 집에서도 발생하고 있어 난방장치가 취약한 환경의 경우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지자체에서는 특히 독거노인, 노숙인, 쪽방 거주자 등 취약계층 대상 안부확인과 겨울철 행동요령 등 안전교육 및 피해예방 활동을 강화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 한파 대비 일반 건강수칙 ]
▶ 생활 습관
- 가벼운 실내운동, 적절한 수분섭취와 고른 영양분을 가진 식사를 합니다.
▶ 실내 환경
- 실내는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 외출 전
- 날씨정보(체감온도 등)를 확인하고 추운 날씨에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줄입니다.
▶ 외출 시
- 내복이나 얇은옷을 겹쳐 입고, 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로 따뜻하게 입습니다.
[ 한파 관련 특히 주의가 필요한 경우 ]
▶ 어르신과 어린이
-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약하므로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상시와 외출 시에 보온에 신경쓰세요.
▶ 만성질환자(심뇌혈관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상승하고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하세요.
▶ 음주
-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못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하세요.
▶ 낙상(노인, 영유아,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만성질환자)
- 빙판길, 경사지거나 불규칙한 지면, 계단을 피해 가급적 평지나 승강기를 이용하고, 장갑을 착용하여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활동합니다.
1 한랭 질환을 조심해(카드뉴스)
※ 자료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www.cdc.go.kr) → 알림‧자료 → 이달의건강소식
2 한랭 질환 건강수칙(포스터)
※ 자료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www.cdc.go.kr) → 알림‧자료 → 홍보자료 → 홍보지
3 한파대비와 한랭 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수칙 바로알기(소책자)
※ 자료 내려받기: 질병관리본부(www.cdc.go.kr) → 알림‧자료 → 홍보자료 → 홍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