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7월 23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9명이 확인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20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수는 13,938명(해외유입 2,145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60명으로 총 12,758명(91.5%)이 격리해제 되어, 현재 883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8명이며, 사망자는 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97명(치명률 2.13%)이다.

7월 23일(12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음
서울 강서구 소재 강서중앙데이케어센터와 관련하여 총 5명(이용자 1, 지인 4)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0명*이다.
* (구분) 이용자 13명, 이용자의 가족 3명, 지인 4명
서울 강남구 금융회사 관련하여 격리해제 전 검사에서 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9명*이다.
* (구분) 직원 4명, 가족 및 지인 5명
서울 송파구 사랑교회와 관련하여 4명이 추가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8명(모두 교인)이다.
※ (위험요인): 증상발생 후 예배참석에 따른 반복노출, 마스크착용 미흡, 노래 부르기, 성가대 소모임, 식사
경기 포천시 주둔 군 부대와 관련하여 병사 1명, 군 부대 내 교육 및 상담을 담당하는 강사 2명 및 그 가족 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현재 강사들로부터 군내 전파로 추정하고 있으며, 강사들이 추가로 방문한 4개 부대를 대상으로 중앙, 경기도 및 군이 공동 역학조사를 진행 중 이다.
* (구분) 병사 14명, 강사 2명, 강사 가족 1명
※ (위험요인) : 마스크 착용 미흡
광주 방문판매 모임과 관련하여 T WORLD(휴대폰매장) 관련 격리해제 전 검사에서 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50명이다.
광주 일가족 관련하여 지표환자 1명(7월22일)이 확진된 후 6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확진자는 총 7명*이다. 광주지역 방문판매 모임 등 기존 집단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 중이다.
* (구분) 가족 4명, 지인 3명
7월 23일 0시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20명으로 검역단계에서 5명이 확인되었고, 입국 후 지역사회에서 자가격리 중에 15명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내국인이 5명, 외국인은 15명이다.
해외 유입 확진자 20명의 추정 유입 국가는 아메리카 9명(미국 9명), 유럽 1명(영국 1명), 중국 외 아시아 10명(러시아 5명, 우즈베키스탄 3명, 카자흐스탄 1명, 타지키스탄 1명)이다.
현재까지 해외유입 사례는 총 2,145명으로, 그중 46.7%(1,002명)는 검역단계에서 진단검사를 통해 확인, 격리하여 지역사회 유입을 방지 중 이며,
지역사회에서 발견된 해외유입사례 1,143명의 경우에도 입국 후 3일 내 전수 진단 검사 및 격리를 통해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 중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 코로나19 항체가 2차 조사 준비상황을 공유한다고 밝혔다.
현재 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잔여 혈청 2차분으로 대구, 대전, 세종 등의 지역을 포함한 혈청 578건*을(2020.07.15. 기준) 수집하였고, 향후 추가로 혈청 수집 완료 후 8월말 경 항체가 조사 결과를 도출할 예정이다.
이와 별개로 8월 중 대구·경산 지역 일반인 등 3,300명에 대한 항체가 조사도 추진 중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민들께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모든 위협요소에 대해 신고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안전신문고 제도를 적극 활용해 주실 것을 요청하였다.
안전신문고를 통해 7월 1일부터 7월 22일까지 1,273건*의 신고가 접수되었으며, 방역수칙 위반이 705건(55.4%)으로 가장 높았다.
총계 | 안전 신고 | 제안 |
소계 | 방역수칙 위 반 | 행정조치 위 반 | 자가격리 위 반 | 기 타 (불명확) |
1,273 | 1,156 | 705 | 49 | 23 | 379 | 117 |
(100%) | (90.8%) | (55.4%) | (3.8%) | (1.7%) | (29.8%) | (9.2%) |
최근 주요 신고사례를 소개하며, ▴밀폐된 지하에서 50~60명의 음악동호회원들이 마스크 없이 밤새 술 마시며 음악연습을 하여 확진자 발생 시 집단 감염 우려가 높았던 경우, ▴영화관에서 출입명부 미작성, 거리두기 없는 좌석배치 등 개선이 필요한 경우 등이었다.
코로나19 유행은 밀폐‧밀집‧밀접된 시설에서는 모두 발생 가능하므로, 친목모임·동호회 등 모임은 취소하거나 비대면으로 전환해 주시고, 2m 이상 거리두기 등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드리며, 국민들께서는 방역수칙 위반 등 코로나19 예방 위협요소 발견 시 안전신문고앱, 포털 등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신고*해 주실 것을 요청하였다.
* (신고방법) 안전신문고 앱(안드로이드, IOS) 및 포털(www.safetyreport.go.kr) 에서 바로 코로나19 위반사항 등을 신고할 수 있고, 처리 결과는 핸드폰 문자메시지, 카카오톡 알림톡 등을 통해 손쉽게 확인 가능
중앙방역대책본부는 7월 24일 18시부터 전국 교회에 대한 핵심 방역수칙 의무화 행정조치(집합제한)가 해제됨에 따라 해제 후에도 예배 시 방역수칙 준수 및 소모임·행사·식사 등 감염 위험도가 높은 활동을 자제해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가 우려되는 정규예배 외 각종대면 모임 활동 및 행사는 취소하거나 비대면으로 전환해주시기 바라며, 예배 시에는 ▴마스크를 상시 착용하고, ▴2m 거리를 두되, ▴노래도 합창이 아닌 반주로 대신하며, ▴통성기도 등 큰소리로 말하는 행위는 자제해 주시고, ▴ 음식 제공 및 단체 식사는 하지 말아 주실 것을 요청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휴가철을 맞아 슬기로운 휴가를 보내기 위해서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발열, 기침, 인후염 등의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으면, 휴가를 미루거나 취소하고, 진료 및 검사를 받아야 한다.
휴가는 되도록 ▴가족단위·소규모로, ▴밀폐·밀접한 장소, 혼잡한 여행지 또는 혼잡한 시간대는 피해서, ▴가능한 개별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것이 필요하며, 휴가 시 ▴실내에서는 상시 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하고, ▴휴게소, 식당·카페 등에서는 최소 시간만 머무르고, ▴사람 간 2m 이상 거리를 둘 것을 요청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본격적인 장마철을 맞아 수해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수인성 감염병, 모기 매개 감염병 등 각종 질환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사항을 당부하였다.
장마철에 주로 발생하는 감염병으로는,
- 첫째,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장출혈성대장균이나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 음식물로 전파되는 수인성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고,
- 둘째, 모기가 늘어나면서 일본뇌염 환자 발생 가능성이 있고 특히 경기북부지역의 경우에는 말라리아에 주의해야 한다.
장마철 주요 발생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은 충분히 가열하여 섭취하고, ▴ 조리한 음식도 오래 보관하지 않아야 하며, ▴철저한 손씻기 등 개인위생 준수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확진자 일별 현황 (7월 23일 0시 기준, 13,938명)





수도권 지역 일별 신규/누적 확진자 현황
수도권 지역(서울, 인천, 경기) 신규 확진자 현황
서울지역 확진자 현황
인천지역 확진자 현황
경기지역 확진자 현황
대전/광주/검역 일별 신규/누적 확진자 현황
대전지역 확진자 현황
광주지역 확진자 현황
검역 확진자 현황
확진자 성별, 연령별 현황 (7월 23일 0시 기준, 13,938명)
일별 사망자 현황
감염경로
최근 2주간 (7월 10일 0시~7월 23일 0시까지 신고 된 645명) 감염경로 구분
감염경로구분(해외유입, 국내발생)에 따른 전국, 주요지역 일별 신규확진자 현황 (4월 1일 이후)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 누적발생 200,000명 이상 국가 및 아시아 ‧ 태평양 주요 국가
(단위: 명)
| 확진자 | 사망자 | 치명률 (%) | 인구10만명당 발생자 수* |
누적 | 신규 | 누적 | 신규 |
미국 | 3,955,860 | 68,196 | 142,942 | 1,097 | 3.6 | 1,202.0 |
브라질 | 2,227,514 | 67,860 | 82,771 | 1,284 | 3.7 | 1,048.7 |
인도 | 1,192,915 | 37,724 | 28,732 | 648 | 2.4 | 87.2 |
러시아 | 789,190 | 5,862 | 12,745 | 165 | 1.6 | 548.4 |
남아프리카공화국 | 381,798 | 8,170 | 5,368 | 195 | 1.4 | 657.1 |
페루 | 366,550 | 4,463 | 13,767 | 188 | 3.8 | 1,114.1 |
멕시코 | 362,274 | 6,019 | 41,190 | 790 | 11.4 | 273.8 |
칠레 | 336,402 | 1,719 | 8,722 | 45 | 2.6 | 1,796.1 |
영국 | 296,377 | 560 | 45,501 | 79 | 15.4 | 442.4 |
이란 | 281,413 | 2,586 | 14,853 | 219 | 5.3 | 339.9 |
스페인 | 267,551 | 1,357 | 28,426 | 2 | 10.6 | 576.6 |
파키스탄 | 267,428 | 1,332 | 5,677 | 38 | 2.1 | 130.7 |
사우디아라비아 | 258,156 | 2,331 | 2,601 | 44 | 1.0 | 757.1 |
이탈리아 | 245,032 | 280 | 35,082 | 9 | 14.3 | 413.9 |
터키 | 222,402 | 902 | 5,545 | 19 | 2.5 | 268.0 |
방글라데시 | 210,510 | 3,057 | 2,709 | 41 | 1.3 | 130.4 |
독일 | 204,276 | 559 | 9,102 | 3 | 4.5 | 247.9 |
인도네시아 | 89,869 | 1,655 | 4,320 | 81 | 4.8 | 33.3 |
중국 | 83,729 | 22 | 4,634 | 0 | 5.5 | 5.9 |
카자흐스탄 | 75,153 | 1,685 | 585 | 0 | 0.8 | 404.0 |
필리핀 | 70,764 | 1,866 | 1,837 | 2 | 2.6 | 65.5 |
싱가포르 | 48,744 | 310 | 27 | 0 | 0.1 | 826.2 |
키르기스스탄 | 29,359 | 1,108 | 1,123 | 44 | 3.8 | 473.5 |
일본 | 27,029 | 726 | 990 | 1 | 3.7 | 21.3 |
우즈베키스탄 | 18,171 | 581 | 96 | 4 | 0.5 | 55.4 |
호주 | 12,428 | 359 | 126 | 3 | 1.0 | 49.5 |
말레이시아 | 8,815 | 15 | 123 | 0 | 1.4 | 27.1 |
태국 | 3,261 | 6 | 58 | 0 | 1.8 | 4.7 |
베트남 | 401 | 17 | 0 | 0 | 0.0 | 0.4 |
대한민국 | 13,938 | 59 | 297 | 0 | 2.1 | 26.9 |
* 국가별 총 인구수(2019년 기준):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UNFPA, 유엔인구기금),
대한민국 2020년 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자료 도표 질병관리본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