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THE CULTURE

[추천요리] 가정용 오리고기 조리법

농촌진흥청, 쉬운 오리 요리법 소개

“가정의 달, 쉽고 맛있는 오리 요리로 건강 챙기세요”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5월 2일 ‘오리 먹는 날(오리데이)’을 맞아 오리의 영양 성분과 집에서도 쉽게 만들 수 있는 요리법을 소개했다.

 오리고기는 올레산, 리놀렌산 등 유익한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으며, 체내 대사 활동에 필수적인 라이신 등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함량도 높다.

 또, 비타민 A 외부의 세균 및 바이러스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자가면역체계를 강화하며, 두뇌 발달 및 기억력 향상, 세포재생, 신경계 발달 등의 역할을 함.
의 함량이 높아 우리 몸의 면역력을 높이고 두뇌 성장과 기억력 증진에도 많은 도움을 준다. 
 
 우리나라 1인당 오리고기 소비량은 2005년 0.97kg에서 2013년 3.15kg으로 3배 이상 늘었지만 집에서 소비하는 경우보다 외식 비율이 높다<참고자료2 표1, 2>.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조리 방법을 이용하면 집에서도 쉽게 오리고기를 이용한 요리를 만들 수 있다.
 
 힘 쑥쑥, 기를 보하는 ‘오리고기 영양솥밥’= 멥쌀은 씻어 불리고, 오리가슴살은 먹기 좋게 채 썰어 밑간을 한 뒤 볶아낸다. 돌솥에 쌀을 안치고 국간장을 넣는다. 오리고기와 표고버섯, 은행, 대추를 올린 뒤, 센 불에서 한소끔 끓이고 다시 약한 불에서 15분 끓이면 영양밥이 완성된다.
 
 속을 꽉 채운 영양 덩어리 ‘단호박 오리치즈구이’= 단호박은 통으로 준비해 씻은 뒤 자르기 쉽도록 전자레인지에 넣고 5분간 돌린 뒤 속을 파낸다. 팬을 달궈 훈제오리를 넣고 노릇하게 볶다가 양파, 피망, 굴소스, 후춧가루를 넣고 고루 섞어가며 볶는다. 속을 파낸 단호박에 볶은 재료를 넣고 모차렐라 치즈를 듬뿍 올린 뒤 170℃로 예열한 오븐에 담아 약 20분간 굽는다.
 
 자극적이지 않고 담백한 ‘오리고기 모둠 버섯전골’= 오리고기는 얇게 썰어 준비한다. 냄비에 다시마를 넣어 끓인 뒤 국간장과 소금으로 간한다. 표고, 느타리, 팽이, 새송이버섯은 먹기 좋게 썰거나 결대로 뜯는다. 양파와 알배기배추는 굵게 채 썰고, 대파와 청양고추는 어슷하게 썬다. 전골냄비에 오리고기를 비롯해 준비한 재료를 돌려 담은 뒤 다시마 국물을 부어 끓여낸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문홍길 가금과장은 “대부분 오리고기를 구이나 백숙, 훈제 등 단순한 조리법으로 소비하고 있지만 우리 국민의 입맛에 맞는 다양한 조리법 개발로 소비를 늘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라고 전했다.  


 한편, 국립축산과학원은 기존 토종 오리를 개량한 ‘우리맛오리’를 개발, 보급해 소비자 선택의 폭을 늘리고 있다.
 
 ‘우리맛오리’는 8주령의 출하 체중이 2.84kg으로 기존 토종 오리 (2.68kg)보다 약간 크고, 일반 오리(6주령 3.4kg)보다 작아 가정에서 요리하기 알맞다.
 
 일반오리 고기에 비해 단백질 함량과 보수력 고기단백질이 수분과 안정된 결합을 하고 있는 정도로 수치가 클수록 가열이나 물리적 충격에 수분이 고기 밖으로 유출되는 정도가 적음. 
은 높고 전체적인 지방 함량은 낮은 반면, 필수지방산인 아라키돈산을 비롯한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다.


< 집에서 즐기는 오리고기 요리 >


  기력을 잃은 가족들에게 안성맞춤인 특별 메뉴. 필수아미노산을 모두 공급하는 양질의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오리고기를 넣고 고슬고슬하게 지은 영양솥밥 한 그릇이면 원기 회복에도 좋다. 담백한 양념에 쓱쓱 비벼 가족 건강 챙기는 보약 같은 밥.

  재료(4인분)
  멥쌀 1과1/2컵, 오리가슴살 1/2쪽, 표고버섯 1개, 은행 5알, 대추 2개, 물 2컵, 국간장 1/2큰술, 식용유 약간 
  고기 양념
  간장 1/2큰술, 설탕 1/2큰술, 정종 1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만들기
1. 멥쌀은 살살 문질러 가며 씻어 헹군 뒤 잠기도록 물을 붓고 30분 정도 불린다.
2. 오리가슴살은 먹기 좋은 굵기로 채 썰어 고기 양념을 넣고 조물조물 주물러 밑간한다. 달군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넣어 볶아낸다.
3. 표고버섯은 채 썰고, 대추는 돌려 깎아 씨를 없애고 채 썬다. 은행은 팬에 볶아 껍질을 벗긴다.  
4. 돌솥에 불린 쌀을 안치고 물을 부은 뒤 국간장을 넣어 고루 섞는다. 여기에 오리고기와 표고버섯, 은행, 대추를 올린다.
  5. 돌솥을 센 불에 올려 뚜껑을 열고 한소끔 끓인 뒤 뚜껑을 닫고 약한 불에서 15분 끓인다. 불을 끄고 위아래로 가볍게 섞은 뒤 뚜껑을 덮고 10분간 두어 뜸을 들인다.



  달달하고 부드러운 노란 단호박 속에 쫀득한 치즈가 녹아내리고, 그 안에 채소와 어우러진 영양만점의 훈제오리가 맛을 더한다. 훈제오리의 영양을 가득 품은 단호박 오리치즈구이는 맛이 가득한 별미다.

  재료(4인분)
  단호박 1통, 훈제오리 300g, 양파 1/2개, 홍피망 1/2개, 청피망 1/2개, 굴소스 1/2큰술, 후춧가루 약간, 모차렐라 치즈 1컵

  만들기
1. 단호박은 통으로 준비해 씻은 뒤 자르기 쉽도록 전자레인지에 넣고 약 5분간 돌린다. 꼭지 쪽에 칼집을 넣어 뚜껑을 만들고 속을 파낸다.
2. 양파와 청, 홍피망은 사방 2cm〜3cm 크기의 네모 모양으로 썬다.
3. 팬을 달궈 훈제오리를 넣고 노릇하게 볶다가 양파, 피망, 굴소스, 후춧가루를 넣고 고루 섞어가며 볶는다.
4. 속을 파낸 단호박에 볶은 재료를 넣고 그 위에 모차렐라 치즈를 듬뿍 올린 뒤 단호박 뚜껑을 덮는다.
5. 170℃로 예열한 오븐에 재료를 담은 단호박을 넣고 약 20분간 굽는다. 뚜껑을 벗기고 먹기 좋게 6등분〜8등분으로 잘라낸다.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한 오리고기를 밑간해 갖은 버섯과 함께 보글보글 끓여 먹는 전골. 자연의 맛과 향 가득한 버섯이 어우러져 담백하면서도 깔끔한 맛이 좋다. 

  재료(4인분)
  오리고기(정육 슬라이스) 200g, 버섯(표고, 느타리, 팽이, 새송이) 한 줌씩, 양파 1개, 알배기배추 1/4개, 청양고추 2개, 대파 1대
  다시마국물
  다시마10cmx10cm, 물 5컵, 국간장 1과1/2큰술, 소금 약간

  만들기
1. 오리고기는 얇게 썰어 준비한다.
2. 냄비에 다시마를 넣고 물을 부어 우러나도록 끓인 뒤 다시마를 건져낸다. 국간장과 소금으로 간을 하여 따뜻하게 둔다.
3.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팽이버섯, 새송이버섯은 밑동을 자르고 먹기 좋은 크기로 썰거나 결대로 뜯는다.
4. 양파와 알배기배추는 굵게 채 썰 듯 썰고, 대파와 청양고추는 어슷하게 썬다.
5. 전골냄비에 오리고기를 비롯해 준비한 재료를 가지런히 돌려 담은 후 다시마 국물을 부어 끓인다.



* 오리고기 소비 현황 

                                      <표1> 오리고기 연간 1인당 소비량

년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연간 1인당 소비량(g)

970

1,230

1,530

1,750

2,110

2,400

3,130

3,400

3,150

                                                                                      <한국오리협회, 2014>

                                      <표2> 연간 오리고기 소비 유형

구 분

가정 내

가족 외식

가족 외 외식

1인 가구

총 소비량

비중(%)

7.2%

50.0%

39.6%

3.2%

100.0%


. 오리고기는 가정 내 소비보다는 외식 소비(89.6%)가 압도적으로 높다.
<국립축산과학원 ‘닭 오리고기 소비자 의식조사결과’, 2014>


<표3> 토종오리 개발 품종(우리맛오리)의 성장 비교

구분

주령

0주령

4주령

8주령

수집 종자(g)

50.7

1,204

2,680

개발 품종(g)

52.1

1,617

2,837




 <표4> 토종오리(우리맛오리)고기의 육질 특성

구분

수분

(%)

무기물

(%)

지방

(%)

단백질

(%)

보수력

(%)

토종

오리

75.8

1.10

1.30

21.84

48.2

일반

오리

76.9

1.12

1.79

20.19

36.5

. 토종 오리고기는 조단백질과 보수력이 비교적 높고, 구수함과 쫄깃한 육질로 오리 고유의 풍미가 있으며 가슴살은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으며, 특히 필수지방산인 아라키돈산의 함량이 높음
. 토종 오리와 일반 오리의 이화학적 특성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