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THE CULTURE

[국립무용단] 적(赤)

부제:We all dance at the cliff

붉은 춤, 인간의 욕망을 파고들다

<적(赤)-We all dance at the cliff>

 

◆ 2014-2015 국립극장 레퍼토리시즌 마지막 작품

◆ 한국무용의 저력, 주역무용수 5명의 에너지 넘치는 무대



공연명

-부제:We all dance at the cliff

일시

2015.6.11.()~13.()

평일 8pm, 토요일 4pm

장소

달오름극장

주요 스태프

안무_ 최진욱/ 구성·연출_ 임필성/

음악_ 모그/ 의상_ 박승건/

무대_ 김태영/ 조안무_ 박혜지

주요 출연진

송설, 조용진, 이석준, 이재화, 박혜지

관람료

R 5만원, S 3만원, A 2만원

관람연령

8세 이상

소요시간

60(인터미션 없음)

예매

국립극장

02-2280-4114~6 www.ntok.go.kr

*예매 수수료 없음


◆ 영화, 패션계 아티스트가 뭉친 창의적 장르 융합


국립극장(극장장 안호상)의 국립무용단(예술감독 윤성주)은 신작 <()>을 오는 611()부터 13()까지 3일간 달오름극장에 올린다

국립레퍼토리시즌 시작 이후, 국립무용단은 다양한 장르와의 협업과 파격 시도가 돋보이는 작품을 끊임없이 선보이며 우리 춤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패션디자이너 정구호가 연출한 <()><묵향>, 핀란드 현대무용가 테로 사리넨 안무의 <회오리>, DJ 소울스케이프가 음악으로 참여한 <기본활용법> 등 현대적인 작품을 선보이며 최근 한국무용은 가장 협업에 유연한 장르가 되었다. 이번 국립무용단의 작품은 예술은 경계에서 피는 꽃이다의 주제를 가진 14-15 시즌의 대미를 장식하는 작품이다.


◆ 국립무용단 수석무용수 최진욱의 첫 장편 안무작



<()>(부제:We all dance at the cliff)은 멈추지 않는 구두를 신고 발이 잘려나가더라도 춤을 추는 소녀의 이야기를 다룬 안데르센의 잔혹동화 빨간 구두에서 모티프를 따왔다. 마치 아슬아슬한 벼랑 끝에서 떨어질 것을 알면서도 춤을 계속 추고 싶어 하는 한 인간의 욕망을 표현한다.

안무 최진욱, 구성 및 연출 임필성, 음악 모그, 의상 박승건. 영화와 패션 등 현재 각기 다른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피 끓는 네 남자가 오직 이 작품만을 위해 의기투합했다.

국립무용단 수석무용수 최진욱은 처음으로 장편 작품 안무를 맡아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동안 뛰어난 카리스마와 에너지를 가진 주역무용수로 무대에 서온 그는 <묵향>, <토너먼트> 등에서 조안무로도 활동하며 꾸준히 안무가로서의 역량을 키워왔다. 최진욱은 인간의 욕망을 극대화해 춤으로 표현해내는 작품을 만들어내길 갈망해왔고, 그에 적합한 영화감독 임필성에게 도움을 청하였다. 영화 <남극일기>, <마담 뺑덕> 등을 연출한 임필성은 상업영화의 홍수 속에서도 뚝심 있게 자기만의 색깔을 관철시켜가는 몇 안 되는 감독 중 하나로, 매번 자신의 영화에 그릇된 인간의 욕망을 담아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임필성은 그의 최근 영화 <마담 뺑덕>에서 의상을 맡은 정구호를 통해 국립무용단을 주목해오고 있었으며, 이번 작품으로 영화감독뿐만 아니라 무대 연출 타이틀에 처음으로 도전한다. 또한 임필성은 영화 <도가니>, <광해, 왕이 된 남자>의 음악감독 모그와 패션브랜드 푸시버튼(pushBUTTON)의 박승건을 합류시켰고, 창의적 작업에 목말라있는 이들은 한뜻으로 의기투합하게 되었다. 각기 다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활동하는 이들은 상업성을 벗어나 순수 예술적 창의력을 십분 발휘하며 서로를 통한 시너지효과를 낸다. 무용수들의 표정과 감정을 강렬한 미장센과 함께 표현해내고, 주문식 영화음악 작곡이 아닌 창의적 영감을 받아 움직임에 따른 음악을 만들어내며, 캐릭터가 가진 특징을 정확히 살릴 수 있는 미적인 의상을 제작해 하나의 무용작품을 완성시켜 나가는 것이다

여기에 숨이 끝까지 차오르도록 쉴 새 없이 움직임을 요하는 최진욱의 안무를 제대로 소화할 송설, 조용진, 이석준, 이재화, 박혜지 다섯 명의 국립무용단 주역무용수까지. 국립무용단의 창의적 시도는 어디까지일까. 분명 <()>은 장르간 융합을 넘어 국립무용단의 창의적 시도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다시 한 번 보여주는 공연이 될 것이다.


각 분야 전문가들이 모였지만, 무엇보다 무용수가 중심이 되어야


 <적(赤)>은 그 무엇보다도 춤에 집중되는 작품이다. 영화감독, 영화음악감독, 패션디자이너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였지만, 무용 공연인 만큼 무용수들이 가장 빛나는 무대를 만들고 싶다고 입 모아 말한다. 안무를 맡은 최진욱은 ‘맺고 어르다 푸는’ 한국무용만이 가진 감칠 맛, 빠른 움직임 속에서도 깊이가 묻어나는 한국 춤 특유의 호흡법을 살려 독특한 안무를 선보인다. 날렵한 움직임의 연속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춤의 호흡은 동작을 한순간도 단절되지 않도록 부드럽게 연결시킨다. 또한 한국무용 공연에선 보긴 드문 애크러배틱(acrobatic)한 군무와 남성 2인무 등 다양한 움직임도 돋보인다.

 이 작품을 통해 무용연출로 데뷔하는 영화감독 임필성은 그간 <마담 뺑덕>, <남극일기>, <인류멸망보고서> 등 드라마, 미스터리, SF를 넘나들며 매번 자신의 작품에 인간의 욕망을 담아왔다. 그는 인간의 욕망을 미학적으로 표현해 행위적 몸짓을 활용할 줄 아는 국내 몇 안 되는 감독이다. 디테일한 것을 잘 잡아내고, 모션과 감정을 잘 이끌어내기로 충무로에 정평이 나있다. 

임 감독은 “현대사회, 욕망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우리 모두가 벼랑 끝에서 춤추는 무용수와 같다”고 하며 낭떠러지에 떨어질지라도 끝까지 가보고 싶은 인간의 욕망과 무모함을 이야기한다. 영화감독의 장기인 입체적 무대 구성기법과 미장센을 활용한 시각적 연출 능력을 살려, 처음으로 도전하는 무대 예술 창작 작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무용수들의 춤에 캐릭터를 부가하여 밀도감 높은 춤을 이루는데 집중하고 있다. 기존 국립무용단의 극무용 스타일과는 차별화되는 스토리텔링을 시도, 각 인물 캐릭터가 두드러지도록 무용수를 배우라 생각하고 연기지도에 특히 신경을 쓴다. 무용공연임에도 대극장 해오름극장이 아닌 중극장 달오름극장을 선택한 이유는 바로, 이런 섬세한 연출과 동작이 더욱 잘 보이도록 함이다. 대사가 없는 무용공연이지만 충분한 스토리를 전달 받을 수 있는 작품이 될 것이다.


전자악기로 국악 장단을 연주, 판타지를 보여주다


 영화 <도가니>, <악마를 보았다>, <광해, 왕이 된 남자> 등 유명한 영화의 음악감독으로 이름을 알린 베이시스트이자 작곡가 모그가 음악을 맡았다. 그는 한때 김덕수 사물놀이패와 어울려 공연하고, 뉴욕 언더그라운드를 누비던 베이시스트였다. 모그는 주로 상업음악으로 이름을 알렸지만, 음악가로서 음악에만 전념한 순수 창작활동을 하고자하는 욕망을 이 작품에 쏟았다. 그는 그간 접해왔던 국악과 민속 음악을 바탕으로, 판타지와 아프리칸·라틴 아메리칸 음악의 요소를 넣어 정열적인 감성을 음악 전반에 녹아내려 한다. 악기는 전부 서양 악기로 구성되어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현대악기의 최전선에 위치한 신디사이저 계열의 전자악기들과 타악기 중심의 퍼커션이 주를 이룬다. 서양악기에서 나오는 전자음임에도 우리음악의 장단과 가락이라 더 묘한 음색을 전해준다. 미니멀한 음악은 역동성과 긴장감을 극대화시켜 무용수들의 몸짓에 더욱 집중하게 할 것이다.


박승건, 한국무용에 키치패션을 접목시키다!

상징성 있는 오브제를 활용한 무대디자인


의상 스케치



 패션디자이너 정구호가 연출한 국립무용단의 <단>, <묵향>, 그리고 정민선 디자이너의 <토너먼트> 등 국립무용단의 의상은 언제나 안무만큼이나 화제가 되어왔다. 비주얼로 승부하는 무용장르의 특성상 무용수의 의상이 점점 더 중시되고 있는 것이다. 정구호와의 친분으로 국립무용단의 공연을 눈여겨보고 있던 박승건은 임필성 감독의 권유에 단박에 승낙을 표하며 의상을 맡았다. 그는 예상치 못한 유쾌함으로 ‘키치(화려하고 눈에 띄며 개성이 중요시 되는 스트릿 패션룩)’와 ‘위트’의 대표주자라 불린다. 공효진·배두나 등 패션스타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는 브랜드 푸시버튼(pushBUTTON)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그는 특별히 한국적 정서를 가지고 만든 옷이 아님에도 한국적(동양적)인 감성이 깃든 디자인이라 읽어내는 외국인들의 반응이 늘 신기했다고 전한다. 이번 작품 역시 그런 한국 감성이 베어날 의상으로 만들 예정이다. 무용의상인 만큼, 무용수들이 움직이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기능성을 최대한 고려한 의상을 만들기 위해 연습과정을 지켜보며 세심하게 작업 중이다. 의상에 키치함을 녹이고, 모던하지만 어느 순간 위트를 발견 할 수 있는 “푸시버튼스러움”의 유쾌함을 기대해도 좋다.


 무대는 뮤지컬 <조로>, <미녀는 괴로워> 등을 디자인한 김태영이 맡았다. 상징성이 깊은 오브제들을 활용, 간결하지만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무대를 꾸민다. 무대 한 가운데는 커다란 원형 상징물만이 놓인다. 여러 조각이 기워져 완성된 이 커다란 구는 인간의 끝없는 욕망이 투사되는 장치로 공연의 끝에 달할수록 점점 진해져 더욱 붉어진다. 아스라한 줄타기 장면에서는 무대 바닥에 심은 LED조명으로 외줄타기의 밧줄을 형상화하는 등 조명을 오브제로 활용하며 시각적 미학을 충족시켜준다. 


무대 스케치


가장 살아있는 주역무용수 5명이 모두 모인 국립무용단 어벤져스


 무용수 송설, 조용진, 이석준, 이재화, 박혜지. 다섯 모두 국내 최고 권위의 무용대회인 동아무용콩쿠르와 신인무용콩쿠르에서 대상, 금상을 휩쓴 실력자들일 뿐 아니라, 국립무용단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 중인 젊은 무용수들이다. 이번 작품에서 조안무를 겸하고 있는 박혜지는 유일한 홍일점이지만 남성무용수들 못지않은 에너지와 카리스마를 가진 무용수다. 그녀는 국립무용단 입단 전, 인턴신분임에도 핀란드 안무가 테로 사리넨에게 극찬을 들으며 <회오리(VORTEX)>의 주역으로 발탁, 최진욱과 폭발적인 2인무를 선보여 모두를 놀라게 한 바 있다. 극 중 박혜지의 욕망의 대상으로 등장하는 조용진은 어려서부터 쌓아온 탄탄한 기본기를 바탕으로 빠른 속도로 성장한 무용수다. <적(赤)>에서는 남성성은 물론, 여성이 가진 고운 선을 소화하며 섹시함까지 겸비한 색다른 캐릭터를 연기한다. 춤 패거리 중 한명으로 등장하는 이석준은 남들은 쉽게 배울 수 없는 정재무(궁중의 경사스런 잔치에 연행되던 춤)를 국립국악원 무용단에서 3년간 익혀 몸의 균형 감각이 뛰어나며, 전통을 바탕으로 한 창작 작업을 하기에 최적화된 무용수다. 탄탄한 기본기를 바탕으로 한국 창작춤의 진수를 보여준다. 이석준과 함께 남성 듀엣을 선보일 이재화 역시 주목할 만한 무용수다. 인턴 때부터 꾸준히 작품에 선발되어 주역으로 무대에 선 바 있을 만큼 뛰어나다. 또한 최진욱의 콩쿠르 영상을 보고 한국무용을 시작했다는 무용수 송설의 존재감은 상당하다. 그는 남성적인 강하고 굵은 선을 표현하는 무용수로 이번 작품에서는 욕망하는 인간의 이중적인 내면을 조정하는 인물로 활약한다.

 부제 ‘We all dance at the cliff’가 말해주듯, 다섯 무용수 모두 벼랑위에서 춤추는 무용수처럼 아슬아슬하고 광기 넘치는 무대를 혼신의 힘을 다해 보여준다. 모든 신체부위를 이용해 한시도 쉬지 않고 움직이는 5명의 무용수만으로도 <적(赤)>의 무대는 시종일관 뜨거울 것이다.


※참고 영상

 ▪ 스팟(20‘)  https://www.youtube.com/watch?v=i35_h2ZW5Bc

▪ 음악 모그, 의상 박승건이 말하는 <적(赤)> https://youtu.be/sCSiV7n9HRM



주요 스태프 소개

안무 l 최진욱(1975년생)


강한 카리스마로 보는 이를 긴장케 하는 국립무용단 간판스타 최진욱. 제31회 동아무용콩쿠르에서 전체 대상을 차지하며 많은 남성 무용수들을 한국무용의 세계로 이끈 주인공이다. 그런 그가 임필성과 모그, 박승건을 한국무용의 세계로 불러들였다. 


주요작품

젊은 안무가전 단편<불온한 삼각형>(2004) 안무,

국립무용단 <허>(2007) 공동안무, 국립무용단 <천>(2008) 조안무, 국립무용단 <묵향>(2013) 조안무, 국립무용단 <토너먼트>(2014) 조안무 


수상경력

2001 제 31회 동아무용콩쿠르 일반부 대상

2003 올해의 예술상 연기상

2009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구성·연출 l 임필성(1972년생)


임필성은 상업영화의 홍수 속, 자기만의 색깔을 가진 줏대 있는 감독으로 통한다. 영화 <마담 뺑덕>, <남극일기>, <인류멸망보고서> 등 드라마, 미스터리, SF를 넘나들며 매번 자신의 작품에 인간의 욕망을 담아왔다. 첫 번째 무대 연출작 <적(赤)> 역시 욕망을 이야기한다. 그것도 한국무용으로.


주요작품 

영화 <기념품>(1997), <소년기>(1998), <베이비>(1999) <모빌>(2002), <남극일기>(2005), <헨젤과 그레텔>(2007), <슈퍼덕후>(2010),  <인류 멸망 보고서>(2012), <마담 뺑덕>(2014)


수상경력

<마담 뺑덕>토론토 국제 영화제 <city to city> 부문 공식 선정작 

<인류 멸망 보고서>캐나다 판타지아 영화제 작품상, 캐나다 AFTER DARK 영화제 최우수 SF 영화상 

<헨젤과 그레델>포르투갈 판타스포로토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최우수 아시아 영화상, 부천 국제 영화제 유럽 평론가 연맹 특별 언급상

<남극일기>스페인 시체스 국제 영화제 최우수 아시아 영화상

<베이비>베니스 국제 영화제 <new territories> 부문 공식 선정작, 대한민국 영상대전 우수 작품상 

<소년기>부산 아시아 단편영화제 작품상 



음악 l 모그(1972년생)


영화 <도가니>, <광해, 왕이 된 남자>, <수상한 그녀>등 굵직한 상업영화의 음악감독을 맡아왔다. 그는 한때 김덕수 사물놀이패와 어울려 공연하고, 뉴욕 언더그라운드를 누비던 베이시스트로 활동했다. 정글북의 모글리처럼 자유분방하고 거친 모그. 


주요작품 

<Planet B-Boy(USA)>(2007), <인플루언스>,<악마를 보았다>,<카멜리아>(2010), <도가니>(2011), <인류 멸망 보고서>,<광해, 왕이 된 남자>,<회사원>,<Eden(JAPAN)>(2012), <The Last Stand(USA)>,<뒷담화, 감독이 미쳤어요>,<남자 사용 설명서>,<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2013), <수상한 그녀>,<역린>,<마담 뺑덕>,<상의원>(2014) 외 다수 


수상경력 

2004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연주상 수상 

2010 청룡영화상 음악상 수상-영화 <악마를 보았다>

2011 청룡영화상 음악상 수상-영화 <도가니>

2012 대종상 영화제 음악상 수상-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

2013 청룡영화상 음악상 수상-영화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미국 Film Music Magazine 선정 올해의 영화음악 30에 선정-영화 <The Last Stand>

2014 대종상영화제 음악상 수상-영화 <수상한 그녀>



의상 l 박승건(1975년생)


공효진, 배두나 등 많은 유명 인사들이 탐내는 브랜드 푸시버튼(pushBUTTON)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박승건. 항상 예상치 못한 유쾌함으로 ‘키치’와 ‘위트’의 대표주자로 불린다. 디자이너이기 전에 가수, 스타일리스트, 모델 등 영역 없는 멀티 아티스트로도 활동해왔다. 이제 그의 새로운 도전은 한국무용이다. 


주요경력

2010~2015 Seoul Fashion Week 서울컬렉션 참가

2011 MBC 드라마 ‘최고의 사랑’ 배우 공효진 의상 제작

2012 pushBUTTON x CJ O Shopping Collaboration Brand ‘push&GUN’ 론칭2013 SBS 드라마 ‘주군의 태양’ 배우 공효진 의상 제작

      한국패션디자이너연합회(CFDK) ‘올해의 후원사상’ 수상

2014 LANEIGE x pushBUTTON Beautiful Collaboration

     SBS 드라마 ‘괜찮아 사랑이야’ 배우 공효진 의상 제작

     Served Label ‘push2ndBUTTON’ 론칭

2015 pushBUTTON x 신세계 BLUE FIT Collaboration ‘BLUE LABEL’ 론칭

                              갤럭시S6 First Look 패션쇼 Collaboration



무용수 소개


박혜지(1988년생)


-예원학교, 서울예고,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예술사 졸업

-제35회 동아무용콩쿠르 학생부 금상

-제40회 동아무용콩쿠르 일반부 금상



조용진(1985년생)


-국립국악 중·고등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예술사 졸업

-제39회 동아무용콩쿠르 일반부 금상, 전체 대상

-국립무용단 <기본 활용법> 안무       




송설(1985년생)

- 한국체육대학교 졸업
- 제47회 전국신인무용콩쿠르 대상
- 제39회 동아무용콩쿠르 일반부 동상
- 제40회 동아무용콩쿠르 일반부 동상
- 국립무용단 <팜므파탈> 조안무


이석준(1985년생)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예술사 졸업
-국립국악원 무용단 인턴 밑 준단원(2010~2012)
-제37회 동아무용콩쿠르 일반부 금상


이재화(1987년생)

- 서울예고,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예술사 및 전문사 졸업
- 제39회 동아무용콩쿠르 일반부 은상
- 제40회 동아무용콩쿠르 일반부 금상 

[자료사진 ; 국립극장 제공]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