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THE CULTURE

[전시]‘CONCRETOPIA’ 가상의 유토피아

2016년 4월 23일 ∼ 6월 18일, 한미사진미술관


◆ 한미사진미술관 젊은 작가 기획전 2016 선정작가 금혜원, 박형렬, 윤상혁
◆ 우리가 꿈꿔온 유토피아는 결국 가상의 유토피아



한국사진 다음 세대의 지속적인 후원자 및 중추적 조력자가 되자는 취지 아래 한미사진미술관은 2015년 초부터 30~40대 한국작가들의 포트폴리오를 공개적으로 접수 받고 검토해왔다. 

이 중 역량 있는 작가들의 전시를 지난 해 두 차례 기획했고, 올해는 금혜원, 박형렬, 윤상혁 세 작가의 단체전으로 그 맥을 이어간다. 

공교롭게도 포트폴리오를 제출한 30, 40대의 많은 작가들이 이들이 몸담고 있는 도시환경에, 좀 더 정확하게는 개발 지상주의가 빚은 도시의 균열에 주목하고 있었다. 아파트가 고향인 다수의 이들이 익숙한 도시환경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나름의 방식으로 고민하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점은 어쨌거나 혹자의 말처럼 현대의 도시환경이 오늘날 시각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증명한다.



이번 전시 제목인 ‘CONCRETOPIA’는 ‘CONCRETE’와 ‘UTOPIA’의 합성어다. 

영국의 학자 John Grindrod는 2차 세계대전 후 빠른 속도로 도시를 재건해야 했던 영국에서 ‘콘크리트를 부어 만든 조립식 고층건물’로 대표되는 ‘시의 적절한 도시 계획안’을 이 단어로 설명했다. 

어느덧 성장의 시대를 종료한 한국 사회에서 지체 없는 건설 붐이 표상한 ‘콘크리토피아’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었고, 오히려 현실에서 다양한 사회문제들을 양산한 ‘비뚤어진 공상’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 안에는 지난 세월 동안 콘크리트를 벗 삼아 욕망하던 도시인들의 자기반성이 녹아있다.

금혜원, 박형렬, 그리고 윤상혁은 우리가 꿈꿔온 유토피아가 결국 가상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작업안에서 고민하고, 보는 이에게도 같은 물음을 던진다. 



우리에게 너무 익숙해져 혹은 가려져 알지 못 했던 뜻밖의 장소나 사물들을 물색하고 관찰한 후에, 그 현실이 우리가 상상해 온 도시의 유토피아와 얼마나 동떨어진 현실인지 사진을 통해 역설한다. 

이처럼 세 작가의 사진 작업 속에는 이들이 기억하는 도시 모습과 현실이 혼재되어, 결코 완벽할 수 없고, 이상적이지 않은 도시의 총체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금혜원



2005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한국화과 졸업
2003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미술학부 졸업

개인전
2014 Cloud Shadow Spirit, 아트선재센터, 서울
2011 Urban Depth, 일민미술관, 서울
2009 Speeding Light, 송은 갤러리, 서울
2008 on the Blue Territory, 덕원 갤러리, 서울
그외 다수의 단체전

수상
2013 제12회 다음작가상 수상, 박건희문화재단
2011 서울문화재단 시각예술활성화 기획프로젝트 선정
2009 서울문화재단 예술표현활동지원 시각예술부문 선정
2008 문화예술위원회 신진예술가 데뷔프로그램 선정



박형렬



2012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예술전문사(M.F.A) 졸업
2009 서울예술대학 사진과 졸업

개인전
2015 Slow-Drawing, BMW Photo Space, 부산
2013 Remake : Revisit The Captured Nature_조용한 시위, 경기창작센터 共 : 作, 경기
2013 Invading Nature, 송은아트큐브, 서울
2011 The Captured Nature, 갤러리 온, 서울
그외 다수의 단체전

수상
2016 서울문화재단 예술작품지원 개인전 지원 선정
2015 13회 다음작가상 수상, 박건희문화재단
2012 송은아트큐브 전시지원 선정, 송은문화재단
2012 월간퍼블릭아트 선정작가 대상 공모 대상수상,월간퍼블릭아트
2012 제13회 사진비평상 작품상 수상, 포토스페이스
2012 'Belt' 사진부문 최우수작가 선정, 한국판화사진진흥협회
2011 제33회 중앙미술대전 선정작가, 중앙일보



윤상혁



2014 스쿨 오브 비주얼 아트, Photography, Video and Related Media 전공 석사 졸업, 뉴욕, 미국
2011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 학사 졸업

개인전
2015 Third Frame Project, Sparrow Art Space, 서울
2014 The Ephemeral, Detroit Center for Contemporary Photography, 디트로이트, 미국
대구사진비엔날레, Eternal Eye, 대구 봉산문화회관, 대구
See Me Pro, See Me 전시장, 뉴욕
포토빌, Secrets & Lies, 브루클린 브릿지 공원, 뉴욕
291발전소, 공간 291, 서울
졸업전, SVA Chelsea gallery, 뉴욕
Secret & Lies, 캠브리지 대학교, 영국
2013 Degrees of Seperation, SVA Gramercy gallery, 뉴욕
아시아프, 문화역 서울 284, 서울
2010 아시아프, 성신여자대학교, 서울
그외 다수의 단체전

수상
2013 Photo Annual 2013, Photo District News, 뉴욕
2009 클레버스 대학생 창작공모전, 금상, 서울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