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초, 국내 유일 식약처 개별인정 간 기능 개선 프로바이오틱스 ● 배우 곽선영, 2년 연속 엔비피헬스케어 전속 모델 계약 체결 ● 엔비피헬스케어 ‘바이크롬 간 유산균’,신규 캠페인 론칭 이벤트 진행 ● 가수 주현미의 추억의 노래 ‘잠깐만’(1992)으로소비자 눈길 끌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토탈 헬스케어 연구·개발 전문 기업 엔비피헬스케어(대표이사 이창규)의 프로바이오틱스 전문 브랜드 바이크롬이 ‘바이크롬 간 유산균’의 첫 TVCF를 1일 론칭했다. 비알콜성 지방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바이크롬 간 유산균’의 첫 CF는 야근과 육아로 지친 일반인들의 모습으로 시작되며 주현미의 ‘잠깐만’을 CM송으로활용해 ‘장간만’이라는 카피로 눈길을 끌었다. 이어진 신에서는 배우 곽선영이 ‘간 관리가 필요할 때’임을 알리고 ‘장 건강부터 간 건강까지 만드는 유산균’이라는 메시지를 강조한다. 2년 연속 바이크롬의 모델로 발탁된 배우 곽선영은 때로는 친근하고, 때로는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팔방미인의 매력을 지닌 배우다. 5월방영 예정인 ENA 새 월화드라마 ‘크래시’에서는 교통범죄수사팀 ‘민소희’ 역할로출연해 밝고 씩씩한 에너지를 발산할 예정이다. 이처럼
● 급성 창상·혈관질환 치료 효과 확인 상 바이오플라즈마를 이용해 치료가 까다로운 급성 창상 및 혈관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플라즈마는 기체에 강한 에너지를 줘 전자와 이온이 분리돼 균일하게 존재하는 상태로, 흔히 고체, 액체, 기체외의 제4의 물질 상태라고 불린다.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김철호 교수팀(강성운 연구교수)은 액상 바이오플라즈마가 혈관 신생을 촉진해 일반적인 치료로 회복이 쉽지 않은 화상, 찰과상, 외상 등의 급성 창상, 혈관질환등 손상된 혈관 치료에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혈관내피세포 및 동물실험을 통해 액상 바이오플라즈마를 활용한 전층 피부 손상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 이 연구결과를 최근 생물학 분야 권위지 ’세포 소통과 신호전달(Cell Communication and Signaling. IF 8.4)‘ 저널에 게재했다. 피부의 상처 회복과정에서 신생 혈관 생성은 매우 중요한 현상이다. 신생혈관이란 기존의 혈관으로부터 새로운 혈관이 생성되는 과정을 일컫는 데, 이는 새로운 조직에 산소 및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상처 재생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혈관 내피세포의 성장은
● 병변 부위를 지속적으로 융기 시켜 절제 용이, 병변과 정상 조직을구분하여 시각화 ● 임상시험에서 유의미한 개선 사항 확인…부작용 없어 효과 입증 ● 내시경 수술 시 출혈, 천공 등 합병증 크게 감소 기대 차 의과학대학교 강남 차병원 소화기병센터 조주영 교수팀(김성환, 조성우, 이아영 교수)이세계 최초로 위암의 내시경 치료에 활용될 주입액 엔도알컴을 개발하고 상용화했다. 해당 연구는 저명한미국 학술지인 Gastrointestinal endoscopy 최신호에 게재되었다. 위암의 경우 초기 단계에서는 내시경적 절제가 가능하며, 90% 이상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조주영 교수팀이 상용화한 주입액은 조기 위암 치료법인 내시경점막하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과정에서 발생하는 한계를 혁신적으로 개선했다. 내시경점막하박리술은 병변이 있는 점막 바로 아래 층에 주사제를 주입하여 점막을 부풀려 수술한다. 이 과정은 병변과 아래 근육 층 사이에 완충 구역을 만들어, 병변부위만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그렇기 때문에 절제 과정에서 조직을 융기시키기 위해 어떤주사제를 사용하는지가 중요하다. 기존에는 주로 생리식염수를
● 딥러닝 활용해 디지털 병리이미지를 분석한 암 진단 관련연구 포스터 발표로 국제적 관심 끌어 ▶ 2024년 전시 일정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병리 이미지 분석 및 암 진단 전문 의료 기업 딥바이오(대표김선우, 딥바이오)는 내달5일부터 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진행되는 ‘미국암학회 연례학술대회(2024 AACR)에서 자사의 암 진단 관련 연구 3건을 발표할 예정이라밝혔다. 딥바이오는 이번 포스터 발표를 통해 기존의 주력 제품인 전립선암AI솔루션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암종으로 연구를 확장하여 딥바이오 의 딥러닝 기반 디지털병리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의 독창적인 기술력과 잠재력을 선보일예정이다 . 특히,올해 AACR에서채택된 초록은 자사의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Ki-67 면역조직화학 염색 조직 슬라이드 이미지에서 Top-k 핫스팟 추천을 사용한 준자동화 Ki-67 염색지수 평가▲병리 동결절편 조직에 대한 장기 구분과 암 구분▲ brca1/brca2 유전자변이 고등급 난소암과 wild type (야생형) 난소암의형태학적 특징 분석 등 총 3종의 포스터 발표가 진행된다. 김선우 딥바이오 대표는 “최근 수많은 글로벌 AI업체들은 인공지능을 현장에
▶ 김태양 솔브케어 코리아 이사(왼쪽),최현섭 히포크랏랩스 대표(오른쪽) 모습 솔브케어 코리아와 히포크랏랩스는 양해 각서(MOU)에 서명하며 헬스케어 데이터 관리 분야에서 혁신을 이루기 위한 협력을 맺었다고 27일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솔브케어 코리아의 COO 김태양 이사와 히포크랏랩스의 최현섭 대표가, 솔브케어의 헬스케어블록체인 플랫폼과 히포크랏의 환자 중심 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결합함으로써 국내 헬스케어 서비스의 운영, 관리, 결제 방식에 관한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이번 협약은 양사가 환자의 헬스케어 데이터관리 및 활용의 혁신을 최우선의 목표로, 핵심은 솔브케어의Care.Wallet과 히포크랏의 Patient DataHub 솔루션의 통합으로, 환자 데이터 관리를 간소화하고 환자들이 자신의 건강 정보에 대해 더 큰 통제권과 접근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번 파트너십은 단순한 데이터 통합을 넘어서, 헬스케어 서비스와 환자 경험 향상을 위한 광범위한 이니셔티브를 포함하며, 양사는사업 개발, 마케팅, 그리고 인프라를 활용한 포괄적인 헬스케어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공동 노력을 포함한다. 아울러 양사는 헬스케어 포럼 참여 및 특별이벤트 등 블록체인 헬스케어
NK세포치료제 연구개발기업 엔케이맥스는 자가 NK세포치료제(SNK01)를 이용한TKI 불응성 비소세포폐암 동물모델 및 환자 대상(임상1/2a상)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저널포 이뮤노테라피 오브 캔서'(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 JITC;Impact Factor: 10.9)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JITC는 전 세계 63개국, 약 4600명 이상의 임상의, 과학자, 연구자들을 참여하는 면역 항암 분야 최대 규모의 글로벌 학회인 미국면역항암학회(SITC)의 공식 학술지다. 항암 면역요법에 관한 혁신적인 연구를발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어, 종양 면역학 분야에서 권위있는 학술지로 꼽힌다. 이번에 게재된 논문 제목은 ‘The safety and efficacy ofSNK01(autologous natural killer cells) in combination with cytotoxicchemotherapy and/or cetuximab after failure of prior tyrosine kinase inhibitorin non-small cell lung cancer: nonclinical mouse model
● 미국 시장 진출 위해 마이랩 제품군의 FDA 인허가 준비 중 ● 자궁경부세포 염색, 스캔, AI 분석등 전 과정 디지털화한 최초의 세포병리 기술 두각 ▶ 노을(주)은 세계 최대병리학회(USCAP)에 참가하여 미국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 온디바이스 AI 헬스케어 기업 노을 주식회사(대표 임찬양)는 3월 23일부터 28일까지 미국 볼티모어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병리학회인 ‘미국캐나다병리학회 (이하USCAP)’에 참가한다. 노을은 올해를 말라리아 및 혈액분석 제품의 미국 진출 원년으로삼아 FDA 인허가를 준비 중에 있으며, 이에 더해 자궁경부세포분석제품의 미국 시장 준비도 병행할 계획이다. 노을은 USCAP에 참가하여 미국,유럽을 포함한 주요 병리진단 시장에서 의학적 미충족 수요(Unmet Needs)인 AI 기반 디지털 세포병리(Digital Cytology) 기술을새롭게 선보였다. 북미 지역 병리진단 전문가들은 노을의 온디바이스AI 기술에 대해 “염색, 스캔, AI 분석 등 전 과정을 디지털화한 혁신적인 제품”이라고 평가하며, 적극적으로 파트너십 협력을 제안했다. 북미 사업개발 총괄 이소연 박사는 “노을의 자궁경부세포분석 제품은온디바이스 AI 기반으로 염색
● 도쿄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와 협력해 1년간 공동 연구 진행 ● '시카 리들'보다 통증이적고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로 결정 개발 중 ● 도쿄대학교와 지속적인 협력 전개 예정 ▶ 도쿄대학교 마이크로니들 학회 현장스케치 - 발표자 김범준 교수 브이티(018290)는 마이크로니들 기술을 활용한 '리들샷'에 대한 후속 연구개발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기록했다고 18일 밝혔다. 브이티는 도쿄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와 공동 연구를 진행했으며 제2회 MAP(Microneedle Array Patch) 워크샵에서 진행 현황을 공개했다. MAP(Microneedle Array Patch) 워크샵은 마이크로니들기술을 통한 약물 및 백신의 효율적인 전달 시스템과 바이오센서 등의 응용 분야에 관한 최근의 연구 결과 및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한일 양국의 마이크로니들관련 산학 연구자들이 참가한 학술 행사다. 작년 5월 시애틀에서열린 제7회 국제 마이크로니들 컨퍼런스에 이어 한일 연구자들로만 구성되었다. 이번 워크샵을 주최한 도쿄대학교 바이오 공학 연구센터장인 김범준 교수는 마지막 발표 세션에서 지난 1년간 진행한 브이티와의 공동 연구를 소개했다. 새롭게 개발한 생분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