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나르도 다빈치, 귀스타브 쿠르베, 빈센트 반 고흐, 파블로 피카소 등 세계적 작가의 작업의 또 다른 이야기! 전시 소개 한미사진미술관은 2018년 한해 동안 사진의 다양한 형식적 실험을 시도한 국내외 작가들을 개인전과 단체전 형식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첫 번째로 소개될 프랑스 작가 자비에 루케지의 《THE UNSEEN》 사진전은 의학 진단용, 공업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X-선 사진기를 명화에 비춰 명화 속에 숨겨진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를 탐색한다. 많은 작가들이 엑스레이 작업을 선보이고 있지만, 본질적인 접근보다는 기계적인 결과를 도출해내는 것인 반면, 루케지의 작업은 20여 년의 기간 동안 벽이 높은 세계적 명성의 박물관, 미술관의 허가를 받아 엑스레이에 명작을 끌어들이며 우리가 당연시 해온 명작의 해석에 새로운 시각을 제안하는 기발함이 돋보이는 유일무이한 작업이다. 파리에서 거주하며 작업하는 자비에 루케지는 수년간 사진작업을 해오다 카메라라는 기기에 얽매여 있는 스스로를 발견하고는 과감히 카메라라는 기기와 테크닉을 버렸다.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작업을 위해서 이미지 표현의 방법을 완전히 바꾸어 병원에서 사용하는 엑스레이를 통해 이미지를 바라보기 시작했다.
가치 개념이 많이 바뀌어 가는 변화무쌍한 세월들을 다 감당해 내었다. 그녀들은 최선을 다했다. 그렇게 그녀들의 삶은 매우 찬란했고, 현란했다. 그래서 오늘 여기 이곳에 서있을 수 있다. 어느 하나도 포기하지 않았고, 주어진 소명을 다 감당하고, 모두 극복하였기에 여기에 서있는 것이 감동이다. 같은 시대를 서로 다른 형편으로 서로 다르게 살아낸 그녀들의 삶이 그래서 소중하다. 그렇게 일곱 명의 여인들이 모여 서로 어우러지니 서로가 빛난다. -박영숙 작가 노트 중- 박영숙은 1975년 사진 작업으로 참여하게 된 단체전을 시작으로 다양한 전시에 참여하였고, 여성미술연구회에 가입해 사진가로서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해왔다. 또한 1997년에는 여성작가협회를 발족하기도 했다. 이후 〈마녀〉, 〈우리 봇물을 트자〉 그리고 〈미친년 프로젝트〉 등을 통해 그동안 흔히 다루어지지 않던 여성에 대한 이야기를 사진으로 꾸준히 작업해왔다.작가는 이번 작업에서 80~90대 여성 7명의 삶에 공감하고 경청한다. 극단장 ‘이병복’, 판소리 명창 ‘최승희’, 故 김수영 시인의 아내 ‘김현경’, 화가이며 패션디자이너인 ‘김비함’, 그리고 기업인의 아내 ‘박경애’, 안동할매청국장집을 운영하는
2017젊은작가기획전 : 임수식 2017.10.21~11.25. 전시안내 전시명 전시기간 전시장소 개막식 임수식 사진전 《책가도:정물과 초상》 2017년10월21일~11월25일 한미사진미술관 20층 제 3전시실 2017년10월21일(토) 오후 5시 한미사진미술관 20층 라운지 관람안내 관람시간 관람료 도슨트 문의 평일 10:00~19:00 / 토요일, 공휴일 11:00~18:30 매주 일요일, 추석 연휴 휴관 성인일반 6,000원 / 학생(초,중,고) 5,000원 사진 전공 학생, 송파구민, 10인 이상 단체 1,000원 할인 미취학 아동, 65세 이상, 복지카드 소지자, 국가유공자 무료 10인 이상 단체 관림 예약 시 원하는 일시에 가능 전화 02-418-1315 또는 이메일 photo@photomuseum.or.kr 한미사진미술관은 2017년도 젊은작가기획전의 일환으로 10월21일부터 11월25일까지 임수식작가의 개인전《책가도册架圖: 정물과초상》을 개최한다. 작가의 대표작인《책가도》연작(2007~ )을 집대성한 이번 전시는 지난 10여년간 350개가 넘는 누군가의 책장을 촬영하며작가가 마주한 오브제와 개인, 그리고 이들과의 인연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
2017 한미사진미술관소장품 기획전 기획: 한미사진미술관참여작가: 강용석, 김영수, 김재경, 민병헌, 박홍순, 배병우, 이갑철, 이상현, 정주하 바야흐로 현대는 눈이 지배하는 세상이다. 눈으로 많은 것을 보고 그렇게 본 것을 믿으며, 지나간 순간은 다시 돌아올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눈으로 본 것을 인식하고 기억한다. 《풍경을 바라보는 시선들》 사진전은 강용석, 김영수, 김재경, 민병헌, 박홍순, 배병우, 이갑철, 이상현 그리고 정주하 9명의 사진가들이 수많은 풍경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고, 기억하고자 했는지 그리고 어떤 프레임에 담아냈는지에 주목한다. 풍경은 오래전부터 예술의 주제가 되었고 이에 대한 해석은 시대에 따라, 문화에 따라 그리고 개인의 관점에 따라 달라졌다. 풍경에 대한 사진가의 선택은 짧은 순간에 스쳐가는 시선으로부터 시작한다. 사진가의 눈은 단순히 보는 눈이 아니라 대상을 인식하고 세상을 해석하고 사진으로 말하는 눈이 된다. 그 시선은 사진가에게 의미 있는 하나의 대상으로 다가온 생경한 빛이 되고 그 낯선 경험과 의미는 작가 자신만의 고유한 풍경으로 거듭난다. 그렇게 한국 사진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기존의 문법과는 다른 내용,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