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7일,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 1차 치료제 이베니티® 국내 출시 5주년을 축하하고, 그간의 성과와 임상적 가치 공유하는 사내 캠페인 진행
● 암젠코리아 제너럴메디슨 사업부, 국내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 인식 확대 및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지속 노력 다짐
2월 7일,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 1차 치료제 이베니티® 국내 출시 5주년을 축하하고, 그간의 성과와 임상적 가치 공유하는 사내 캠페인 진행
암젠코리아 제너럴메디슨 사업부, 국내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 인식 확대 및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지속 노력 다짐
(2025년 2월 10일) – 암젠코리아(대표: 신수희)는 지난 2월 7일,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을 위한 1차 치료제로 자리 잡은 ‘이베니티®(성분명: 로모소주맙)’의 국내 출시 5주년을 축하하고, 골다공증 골절 위험 감소 및 치료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본 빌딩 비긴즈(Bone Building
Begins)’ 사내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10일 밝혔다.
골형성 촉진과 골흡수 억제가 동시에 가능한 최초이자, 현재 국내에서도 유일하게 승인된 이중작용 골형성 촉진제인[1],[2],[3] 이베니티®는 △최근 24개월 이내 골절이 경험이 있거나 △골밀도 수치(T-score) -3.0 미만인 경우 등 골절 위험이 매우 높은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Very-High-Fracture-Risk Group)’을 위한 1차 치료제로 처방되고 있다[4].
최근 행정안전부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은 2024년 12월 기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며 기존의 예측보다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으며,[5] 골다공증을 비롯한 고령층 취약 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골다공증 골절은 한 번 발생하면 재발 위험이 높기 때문에 신속한 뼈 생성이 가능한 골형성 촉진제를 사용해 골절 위험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6]
이베니티®는 FRAME, ARCH, STURUCTURE 등 다수의 임상연구에서 12개월 투여 만에 척추, 고관절, 대퇴경부 등 모든 부위의 신속한 골절 위험 감소, 골밀도 증가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골강도와 골질이 개선되었다.[7], [8],
[9],
[10]
이를 근거로 미국임상내분비학회∙내분비학회(AACE∙ACE), 대한골대사학회 등 국내외 가이드라인에서는 이베니티®를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을 위한 1차 치료제 중 하나로 우선 처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6, [11]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임직원들은 ‘본 빌딩 비긴즈(Bone
Building Begins)’ 사내 캠페인에서 특히 골절에 취약한 골절 초고위험군이 초고령화 사회에서 골다공증 골절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빠르게 골형성 촉진제 치료를 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 방안들을 발표했다. 또한,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을 위한 1차 표준 치료제로서 이베니티®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캠페인의 일환으로 임직원들은 이베니티®의 입증된 치료 효과 및 주요 임상연구 데이터가 적힌 대형 블록 쌓기 게임에 참여했으며, 이를 통해 지난 5년간 이베니티®가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을 위한 1차 치료제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탄탄한 임상적 근거들을 재확인하고, 앞으로 국내 골다공증 환자의 골절 위험 감소와 뼈 건강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암젠코리아 제너럴메디슨 사업부 총괄 김상윤 전무는 “이베니티®는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생소했던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에 대한 의료진과 골다공증 환자들의 인식을 넓히고, 골절 위험에 노출되었던 환자들에게 맞춤 치료를 통한 빠른 치료 효과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암젠코리아는 앞으로도 이베니티®의 임상적 혜택을 국내 의료진과 환자들에게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하는 한편, 초고령화 사회에서 골절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이 될 수 있도록 이베니티에서 프롤리아로 이어지는 골다공증 환자들의 치료 여정에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베니티®는 골형성을 저해하는 단백질인 스클레로스틴(Sclerostin)을 표적으로 하는 인간화 단클론항체 치료제7로, 2019년 5월 골절 위험이 높은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환자의 치료 및 골절 위험이 높은 남성 골다공증 환자의 골밀도 증가를 위한 치료제로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받았다.[12]
[5] 행정안전부 동영상 뉴스, 국내 65세 이상 인구 20% 돌파···'초고령 사회' 진입 (2024.12.26) Accessed Jan 21, 2025 https://www.mois.go.kr/video/bbs/type019/comm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255&nttId=114652
[10] EVENITY® (romosozumab-aqqg) vs alendronate Efficacy Data _
EVENITY® Accessed Jan 21, 2025 https://www.evenityproliahcp.com/starting-evenity/vs-alendronate/efficacy
[11] AACE/ACE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 2020 Up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