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Paradigm of HRT Progestin-free, TSEC 연자: 이지영 교수 (건국의대) An Evidence-Based Use of MHT in the Current Guidelines이전에는 폐경 여성에서 어떤 호르몬제를 사용하여 폐경호르몬요법(menopausal hormone therapy, MHT)을 시행할지 그 기준이 명확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여러 폐경학회의 가이드라인을 통해 환자에 따라 처방해야 하는 호르몬제에 대한 정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호르몬제는 폐경 여성에서 폐경으로 인한 불편 증상이 있을 경우 사용할 수 있지만, 호르몬제를 사용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며, 무엇보다 호르몬제 사용에 따른 위험보다 이점이 많은 환자에서 MHT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가이드라인의 중심이다.이러한 관점에서 관련 데이터를 살펴보면 이점을 극대화하는 데 중요한 것 중 한 가지는 MHT를 시작하는 나이인 것으로 생각된다. 2016년 북미폐경학회(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권고사항에서는 폐경 후 10년 이내 또는 60세 미만의 여성에서 MHT를 시작하는 것이 대부분의 환자에서 위험보다 이점
Acebrophylline의 작용기전 연자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김지희 교수 Acebrophylline은 급·만성기관지염, 천식, 건성비염과 같은 기도폐쇄성 장애 및 점액분비장애로 인한 급·만성 호흡기 질환에 적응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질환에 acebrophylline 100mg 1캡슐을 1일 2회 경구투여한다.Acebrophylline은 점막의 동력학적 활성(kinetic activity) 및 정상화 작용을 하고 과다반응(hyperreactivity)을 억제하며 상피보호 효과가 있다.세포막의 주요 구성성분인 phosphatidylcholine을 분해하는 효소인 phospholipase A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lysophosphatidylcholine과 arachidonic acid의 전환과정을 차단하여 염증매개물질인 leukotrienes의 생성을 억제하게 된다.이로써 기도의 염증을 억제하여 기관지의 과다반응을 조절한다. 또한 phospholipase A의 활성억제에 따라 증가된 phosphatidylcholine은 type 2 폐포세포(alveolar cell)에 작용하여 계면활성의 상승작용을 통한 폐 방어기전(lung defense mechani
What is Optimal Treatment for ACS Patients 연자:고대안암병원 홍순준 교수 ACS 환자 치료에서 clopidogrel은 aspirin + clopidogrel (600 mg(LD), 150 mg(MD)), aspirin + clopidogrel (300 mg(LD), 75 mg(MD)) + cilostazol (100 mg BID), 새로 prasugrel 등이 나오면서, aspirin + prasugrel (60 mg (LD), 10 mg (MD)), aspirin + ticagrelor (180 mg (LD), 90 mg BID) 등 다양해졌다. Prasugrel Prasugrel 60 mg/10 mg 요법의 경우 혈소판 응집 억제(IPA) 작용이 매우 빨라 clopidogrel 600 mg/75 mg, clopidogrel 300 mg/75 mg 투여 3시간 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30분 정도에 얻을 수 있는 강력한 효과를 갖고 있으며, 억제 효과도 더 크다. TRITON-TIMI38 연구는 PCI가 예정된 ACS 환자를 대상으로 clopidogrel과 prasugrel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1차 효능 평가 지표는 심혈
Impact of ARB + Statin on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연자:삼성서울병원 한주용 교수 죽종과 심혈관 사건 Nicholis 등의 연구에 따르면 관상동맥 죽종의 부하가 클수록 심혈관 사건의 위험이 높고 생존율이 떨어진다고 한다. MACE를 갖고 있는 환자일수록 죽종 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국 MACE 유무에 따라 MACE가 있는 경우 죽종의 부피가 크고, 이를 억제하는 약물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osuvastatin과 죽상동맥경화증 Rosuvastatin의 METEOR, ASTEROID, ORION, COSMOS, SATURN 연구가 죽상경화증에 대한 연구이고 이 중 ASTEROID, COSMOS, SATURN이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ASTEROID 연구는 CAD 환자에서 rosuvastatin 40 mg의 장기간 치료 후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349명을 대상으로 2주차와 104주차에 IVUS를 실시하였다. Rosuvastatin 치료 후 LDL-C이 53.5% 감소하였고, HDL-C은 13.8%
Powerful from the start to renal impairment 연자: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김혜순 교수 신장애 환자에서 제미글립틴의 효과와 장점 그리고 initial combination했을 때 어느 정도 혈당을 떨어뜨릴 수 있는지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의 당뇨환자 중 albuminuria를 가지고 있는 환자가 27.3%이고, eGFR 60미만으로 정의했을 때 CKD(Chronic Kidney Disease)가 10%입니다. 그리고 HbA1c가 증가함에 따라 CKD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당뇨병과 CKD를 같이 가지고 있는 환자는 만성신부전이나 말초혈관질환 등이 더욱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CKD환자에서 혈당조절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약제 선택 시 매우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신장애를 가진 당뇨환자는 신기능의 정도에 따라 약제를 사용할 수 없거나 감량이 필요한 경우가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DPP-4억제제 중 제미글립틴이나 리나글립틴은 용량조절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그림 1>. DPP-4는 신장에 매우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DPP-4가 다른 많은 substrate의 기질로도 작용하여 이
Simple but Powerful treatment from the start with Gemigliptin 연자:대구가톨릭대병원 손호상 교수 당뇨병 약제 사용의 글로벌 트렌드를 살펴보면 SU와 TZD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GLP-1 agonist와 메트폴민, 인슐린, DPP-4억제제는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DPP-4억제제는 2008년에 출시되어 매우 두드러진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와 유사하게 우리나라도 DPP-4억제제가 4천억 규모로 매우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슐린 사용에 있어서는 아직 글로벌 수준까지는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렇게 DPP-4억제제의 사용이 전세계적으로 빠른 성장을 보이는 것은 부작용이 거의 없는 점이 매우 크게 작용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에 대표적인 DPP-4억제제인 제미글립틴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조적인 측면에서 제미글립틴은 가장 먼저 개발된 시타글립틴보다 S1 pocket에 더 tight하게 binding하도록 디자인 된 화합물입니다. 따라서 제미글립틴은 시타글립틴과 결합상수는 거의 비슷하나 해리상수가 작아서 duration이 길고 따라서 천천히 해리됩니다
돌발성 난청의 다기관 연구기법 연자:가천대 길병원 김남범 교수 InferenceInference는 시험을 통해 어떤 결론을 얻고자 하는가에 대한 추론으로 local inference와 global inference로 구분된다. Local inference는 시험이 진행되는 기관의 특성이 반영되기 때문에 일반 대중에게 적용할 수 없다. 반면 global inference는 해당 질환을 가진 모든 인구집단에 적용되는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적다. 이에 가능한 한 global inference에 적합하도록 다기관 연구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design of the study무작위 배정(randomization)은 편향(bias)을 줄이고 통계적인 확률 이론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군의 피험자 수가 동일할 때 통계적 검정력이 높다. 단순(simple) 무작위 배정, 순열화 블록(permuted-block) 무작위 배정, 조정(adaptive) 무작위 배정을 통해 환자 배정이 가능하며 이 중 순열화 블록 무작위 배정이 무작위 배정의 의의에 가장 적합하고 통계적 검정력을 최대화할 수 있으므로 실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된다. 맹검(bli
돌발성 난청/타나민 주사 임상 결과 보고 연자:분당서울대병원 구자원 교수 돌발성 난청/EGb761 주사 임상시험 계획 ISSNHL의 치료에 있어 현재까지 스테로이드가 가장 흔히 사용되어 왔지만 과거 연구의 많은 환자에게서 제한된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당뇨병, 고혈압 등 합병증이 있는 경우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치료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ISSNHL의 다양한 원인들이 연구되었고 각 원인의 치료에 해당되는 많은 약제 (항염증약, 항바이러스제 등)들이 소개되었다. EGb761은 free radical을 억제하고 혈관을 확장하는 성분으로, 과거 연구에 따르면 SSNHL 환자의 60~80%에서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최근 AAO 가이드라인에서는 EGb761을 Recommendation against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SSNHL로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환자에 있어 EGb761의 추가적인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임상시험의 결과 및 결론 ISSNHL을 진단받은 20~70세 환자를 대상으로 아산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부산대병원 등 다기관에서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병행 임상시험이 진행되었다. 베이스라인에서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