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는 2월 13일(목) 일본 국립암센터(National Cancer Center Japan, 원장 Hitoshi Nakagama)와의 협력 강화를 위해 MOU 갱신 체결식을 진행하고, 한-일 암 연구 세미나를 개최했다. 양 기관은 2001년 공동성명을 통해 인력 및 기술 분야에서 협력을 시작했으며, 이후 2016년과 2019년 두 차례의 MOU를 체결하며 25년간 암 연구 협력, 인력 교류, 연구 워크숍 및 공동 심포지엄 개최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이번 세 번째 MOU 갱신을 통해 암 연구 분야의 협력을 더욱 확대하고, 공동 연구 및 학술 교류를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2025년은 한-일 수교 60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로, 이번 협약은 양국 간 보건의료 분야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MOU 체결식에는 일본 국립암센터 원장을 비롯한 대표단과 코이치 미즈시마 주한 일본 대사가 참석하였고, 한국 측에서는 국립암센터 원장, 연구소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다. 체결식 이후 진행된 한-일 암 연구 세미나에서는 양 기관의 연구진이 최신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기초 연구 세
● 유전성 혈관부종 환우들의 건강권 보호를 위한 국가인권위원회 및 국민권익위원회에 진정서 제출 ● 한국유전성혈관부종환우회, 치료 접근성 보장을 위한 급여 기준 개선 시급 사단법인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회장 김재학)와 한국유전성혈관부종환우회(회장 민수진)가 2월 13일 목요일 유전성 혈관부종 환우들의 치료환경 개선을 위해 국가인권위원회와 국민권익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환자들의 생명과 건강권 보장을 위해 신약의 급여 등재와 현행 약제 급여기준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유전성혈관부종환우회 민수진 회장은 “유전성 혈관부종은 희귀 유전질환으로, 특정 유발 요인에 의해 전신 또는 국소 부위에 심각한 부종이 발생하며, 적절한 치료가 지연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이지만, 최신 치료제의 급여화 지연과 기존 치료제의 급여 기준 제한 및 부작용 우려 등으로 환자들의 치료 환경이 매우 제한되고 있다.”라며 진정서 제출의 이유를 밝혔다. 현재 국내에서는 증상 발현을 예방하기 위해 다나졸 성분의 약제가 사용되고 있다. 문제는 이 성분이 남성 호르몬제로서 아이들과 여성에게는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어 치료 가이드라인 등에 근거하여 외국에서는
● 캐나다Sickkids 병원, 서울대학교병원 등과 지속 협업 통해 3D 프린팅 활용 시뮬레이터 제작 ● 의료산업 내 3D 프린팅 기술 활용도 증가에 따른 수요 확대 예상 국내 최대 3D 프린팅 서비스 기업글룩(대표 홍재옥)이 3D 프린팅 기술을 바탕으로 한 의료 시뮬레이터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글룩은 의료 시뮬레이터분야에 2018년 본격적으로 진출해 현재까지 국내외 유수의 병원, 의사들과 제품 개발을 해오고 있다. 글룩은 소아 심장 시뮬레이터 분야 세계적인권위자인 캐나다 Sickkids 병원의 유시준 교수와 공동으로 3D 프린팅으로만 제작 가능한 사람 장기와 매우 유사한 특수 개발된 실리콘을 활용한시뮬레이터를 제작했다. 현재 전 세계 소아 심장 수술을 진행하는 의료진들에게 시뮬레이터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매년 체험 및 실습을 위한 프로그램을진행하고 있다. 글룩은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이활 교수와 협력해 실제 사람의 CT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체 1:2 골학 제품을 내놓았다. 실제 뼈와 질감까지 똑같은 골학 제품으로 서울대학교의과대 전체 신입생들에게 해당 골학 제품을 공급한 바 있다. 글룩은 이같은 기술력을 더욱
● 완전 관해 환자에서의 생존율 분석, 면역항암 치료중단 시점에 대한 새로운 지침 제시 ● 전 세계 28개 의료기관 참여한 다국적 연구로 완전관해 이후 치료 지속 필요성 강조 ● 국제 학술지 ‘Hepatology (IF=13.0)’ 최신호에 연구 결과 발표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원장윤상욱) 암센터 혈액종양내과 전홍재 교수와 강버들 교수팀은 간세포암(HCC)면역항암 치료를 통해 완전 관해(Complete Response, CR)에 도달한 환자들의장기 생존율과 무재발생존율(RFS, Recurrence-Free Survival)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국제 학술지 ‘Hepatology(IF=13.0)’ 최신호에 게재됐다. 아시아, 유럽, 미국 등 전 세계 28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대규모 다국적 연구에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전홍재 교수가 아시아를 대표해 공동 교신 저자(Co-correspondingauthor)로 참여했다. 연구팀은 2019년 1월부터 2023년 6월까지면역항암제 기반 치료를 받은 3,933명의 간세포암 환자 대상으로 표준 종양평가 기준(RECIST)과 수정된 종양 평가 기준(mRECIST)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 시판 후 조사에서 장기 복용 약효 및 안전성 확인 ● 관절염 앓고 있는 반려견, 반려묘에서 약효 확인, 적응증확장 ● 파트너십 다각화로 국내외 시장 확대 가속화 신약 개발 벤처기업 지엔티파마(대표이사곽병주)는 반려견 인지기능장애 신약 ‘제다큐어’가 시판후 조사에서 장기복용 약효와 안전성이 확증됨에 따라 유통망 확대 및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지엔티파마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이중표적 뇌세포 보호 신약 제다큐어는사람의 알츠하이머병과 유사한 인지기능장애를 앓고 있는 반려견에서 약효와 안전성이 입증돼 2021년 2월 국내 최초 합성신약 동물용의약품으로 승인을 받았다. 현재 국내동물병원 2,000여곳에서 처방되고 있다. 특히 최근 3년간 진행된 시판후 조사를 통해 제다큐어의 장기 복용 약효와 새로운 적응증이 밝혀지고 있다. 시판 후 조사는 허가 받은의약품에 대해 유효성 및 안전성을 재검증 하는 절차이다. 40여개 동물병원에서 진행된 시판후 조사결과 인지기능장애를 앓고 있는 초기, 중기, 말기 반려견에 제다큐어를6개월 이상 투여해도 특별한 부작용이 없었으며 장애개선 효과가 확연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기능장애지수(CCDR) 평가(5
● ‘모자이크3D’,韓·美 이어 캐나다까지 의료기기 허가 획득… 총 6개국 ● 1550nm 어븀 글래스 레이저 의료기기로 ‘세르프’에 이은 ‘사이노슈어 루트로닉’의두번째 신제품 ● 신제품 개발 및 기존 라인업 업그레이드로 글로벌 시장 내 입지 강화 노력 글로벌 1위 에너지 기반 의료기기(EBD,Energy Based Device) 기업 사이노슈어 루트로닉이 최근 캐나다와 베트남에서 레이저 기기 신제품 ‘모자이크 3D(MOSAIC 3D)’의 허가를 완료했다고 13일밝혔다. 모자이크3D는 지난해 4월사이노슈어와 루트로닉 양사의 합병 발표 이후 ‘사이노슈어 루트로닉’ 브랜드로출시되는 두번째 신제품이다. 1550nm 파장의 어븀 글래스 레이저를 이용한 비침습적 프락셔널레이저 기기로, 기존 루트로닉이 보유한 ‘모자이크’ 라인의 신규 모델이다. 2023년10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았고 지난해 미국 FDA의 시판 전 허가(510k Clearance)를 획득했다. 현재까지 모자이크 3D의 허가가 완료된 국가는 한국과 미국, 필리핀, 이스라엘, 베트남, 캐나다까지총 6개국이다. 사이노슈어 루트로닉은 합병 발표 직후인 지난해 5월, 양사의 의료기기 기술력을 결집한
● 손목이나 손등에 나타나는 양성종양… 손목 자주 사용하면 커지고 쉬면 가라앉아 ● 손목 반복적 사용이 원인 추정… 통증 심해지거나 저린 증상 발생하면 치료 필요 ● 재발률 높아, 손목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충분히 휴식 취해야 재발 막아 특별한 외상도 없이 어느 날 손목이나 손등에 불쑥 튀어나온 혹을 발견했다면 ‘결절종(Ganglion Cyst)’일 가능성이 크다. 결절종은 관절이나 힘줄을 둘러싼 조직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이다. 손목이나 손가락뿐 아니라 발목이나 무릎에서도 생길 수 있지만, 특히 손목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관절을 싸고 있는 막에서 발생해 부풀어 오른 것으로 피부밑에 덩어리처럼 만져지는 것이 특징이다. 크기는 콩알만 한 것부터 작은 알밤만 한 것까지 다양하다. 손을 자주 사용하면 커지고 쉬면 가라앉는다. 남성보다 여성에서 많이 생기고 10~30대에서 많이 발생한다. 손목결절종은 손목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반복적인 미세외상에 노출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결절종 내부에는 관절액이나 활액이 차 있는데, 힘줄이나 관절을 감싸고 있는 막에 관절액이나 활액이 새어 나와 고이면서 주머니 형태의 혹을 형성하게 된다. 이용석 가톨릭대학교
● 안전성 모니터링 위원회, 임상 1상 용량군 5의 안전성 및 효능 데이터 검토 완료 ● 부분관해 3건 및 다수의 안정병변 등 반복적인 약효 신호 관찰에 따라 예측 유효 용량에서 추가 환자 데이터 확보 계획 ● 내달 미국 임상 기관 개시…다인종 데이터 확보 나서며 글로벌 임상 가속화 혁신신약 연구개발 전문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KQ288330)는 최근 제5차 안전성모니터링 위원회(SafetyMonitoring Committee, 이하 ‘SMC’) 회의를개최하여 비소세포폐암 치료제후보물질 BBT-207 임상 1상 다섯 번째 용량군의환자 투약 데이터 검토를마쳤다고 밝혔다. 회사는 4세대 상피세포성장인자 수용체 티로신인산화효소 억제제(EGFR TKI)로 개발하고있는 BBT-207의 임상1상 용량상승시험에서 투약 용량을단계적으로 증량해 나가며약물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탐색해나가고 있다. 각 용량군의환자 투약 절차 완료 이후,임상시험의 주요 연구 책임자들로구성된 SMC 회의를 개최하여약물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평가하고 있다. 최근 개최된 SMC 회의에서는BBT-207 임상 1상의 다섯 번째 용량군에등록된 여섯 명의 환자에서확보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약물의유효성 및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