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센텔리안24, 2015년 4월 브랜드 출범 이후 누적매출액 1조 달성 ● '마데카 병풀 정원에서 피어나는 마음'의 콘셉트를 담아 일상 속 감사함을 전하는 스페셜 세트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센텔리안24가 누적매출 1조 달성을 기념해, ‘마데카 크림 리야드(Madeca Cream Riad) 스페셜 기획세트’를 출시했다. 동국제약 센텔리안24는 50여년 간 식물성 원료의 연구개발에 주력해 온 동국제약의 노하우와기술력을 기반으로 탄생한 브랜드로, 뛰어난 제품력을 인정받으며 국내 더마코스메틱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동국제약의 57년 피부 과학 기술력과 독자적인 병풀 TECAnology™(테카놀로지)로 완성한 프리미엄 토털 안티에이징 크림인 ‘마데카 크림’부터 고농축 프리미엄 앰플인 ‘마데카 멜라캡처 앰플’, 고농축 광채 세럼 ’마데카 마이크로 스타톡 세럼’, ‘마데카 더마마스크팩3 인텐시브 포뮬러’ 등 다양한 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메가 히트 제품인 마데카 크림 시리즈는 누적 판매량 6,800만개(2015년 4월 ~2024년12월 기준)를 돌파했으며,센텔리안24는 이에 힘입어 2015년 출시 이후브랜드 누적 매출액 1조(2015년
● 2024년 산부인과 로봇수술 1,400례 이상 시행 ● 로봇수술 2명중 1명이 2030여성…가임력보존, 빠른 회복 장점 ● 1988년 국내 최초로 복강경 수술도입…산부인과 미세침습 수술 분야 독보적 성과 ● 25년 1월 다빈치 SP신규도입… 최신로봇기기 3대 운영으로 수술 환자 편의성 증대 차 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원장 노동영) 산부인과는 지난해 말 로봇수술 7,000례를 달성했다. 이는 국내 산부인과 최단 기간 최다 성과다. 2024년 로봇수술을 가장 많이 한 진료과는 산부인과로, 국내 산부인과 로봇수술 건수는 2만 2천여건이다. 강남차병원은 작년 한 해 1,400례 이상 시행했다. 2024년까지 국내 산부인과 누적 로봇수술건수는10만 7000여으로 강남차병원 로봇수술 7000례는 이 중 약 7%를 차지한다. 출산연령의 증가로 젊은 여성들의 자궁, 난소 질환 발병률이 증가하고가임력 보존이 중요하게 고려됨에 따라 부인과, 난임, 산과가연계된 최소침습 수술시스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강남차병원 로봇수술센터를 찾은 환자 10명 중 4명(40.7%)이 미혼여성이며 연령대를 살펴보면 30대가 43.2%, 40대가39.9%, 20대가10.0%, 50대가 5.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는 2025년 2월 7일(금) 검진동 8층 강당에서 제3회 국립암센터위암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위암 연구의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국제적인 협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국내외 위암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해 폭넓은 논의와 협력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포럼은 국립암센터발전기금의 지정 기탁으로 이루어진 위암 연구 지원을 바탕으로 진행되며, 지난 14년간 꾸준히 이어져 온 국립암센터위암세미나의 전통을 발전시켜 2019년부터 ‘위암 포럼’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개최되고 있다. 이를 통해 위암 연구 및 치료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보다 심도 있는 학술 논의와 국제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총 네 개의 세션으로 구성된 이번 포럼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의 권위 있는 연구자들이 참석해 위암 연구와 치료의 최신 동향을 집중 조명할 예정이다. 세부 주제로 1부 소화기내과 세션에서는 국립암센터에서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와 공동 연구로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임상연구와 중국에서 최근 발표된 유사한 임상 연구 결과를 함께 논의하는 흥미로운 자리가 될 것이다. 2부 종양내과 세션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위암 항암
● 제오민® 100IU, 2018년부터 6년 연속 국내 보툴리눔 톡신 수입 실적 1위 기록 ● 내성 발생위험 최소화를 위한 노력 신뢰받는 제품으로 자리매김 글로벌 에스테틱 리딩 기업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대표 유수연, 이하 멀츠)는자사의 보툴리눔 톡신 A형 제제 제오민® 100단위(IU)가 2018년부터6년 연속 보툴리눔 톡신 수입실적 1위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1],[2],[3]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23년제오민®100단위(IU)의 수입실적은 26,277,972달러로, 가장 높은 수입 실적을 유지했다. 특히, 제오민®100단위(IU)는 2018년부터 국내 수입 실적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오며두드러진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1,2,3 이러한 결과는 제오민®이 국내 의료진과 소비자로부터 지속적으로 신뢰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된다. 2005년 유럽 EMA의승인을 받아 처음 출시된 제오민®은[4] 2009년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으며 국내 시장에 도입되었다.[5]이후 2011년부터 적응증을 점차 확대하여 상부 안면부 주름의 일시적 개선 목적으로 눈가, 이마, 미간의 3부위에대해 적응증을 보유한 유일한 제품으로 자리 잡았다.1 제오민®
● 1세 미만 영아 대상자의 공개 라벨군 부문에 대한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DMC)검토 결과, 목표 약물 농도에 안전하게 도달함을 확인 ●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 해당 임상의 이중 맹검 부분에 영아 환자 등록 승인 ● sunRIZE 환자 등록, 2025년 2분기 완료 예정 한독 관계사 레졸루트는 2월 4일(미국 시간) 선천성 고인슐린증(HI)으로인한 저혈당증 치료제 RZ358(에르소데투그)의 3상 임상인 sunRIZE 연구 관련 공개 라벨군(Open-label arm) 부분에 대한 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DMC,Data Monitoring Committee)의 검토 결과와 곧 있을 중간 분석(IA)에대한 추가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중간 분석의 목적은 주요 평가 변수(end-point)의연구 대상자 수를 재확인하는 것이다. 공개 라벨군에는 생후 3개월에서 1년 사이의 영아대상자 8명이 등록되었고,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는 에르소데투그의안전성과 약동학을 검토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했다. 에르소데투그는 로딩 단계에서 5mg/kg 또는 10mg/kg의 용량으로 격주 투여된 후 1개월 투여 간격의 유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는용
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이사 전세환)와 대원제약(대표이사 백승열)이천식 치료제 유통판〮매를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서울시 성동구대원제약 본사에서 열린 이번 파트너십 계약 체결식에는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전세환 대표이사와 대원제약 백인환 대표이사를 비롯해 양측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계약으로대원제약에서 판매하게 되는 제품은 아스트라제네카의 천식 치료제인 ‘심비코트‘와‘풀미코트 레스퓰‘이다. 심비코트는천식환자에 대한 치료와 중증만성폐쇄성폐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흡입형 호흡기 치료제로, 흡입용 기기 및 분사방식의 차이에 따라 심비코트 터부헬러[1],[2],[3]와 심비코트 라피헬러[4],[5]로 구분되며, 부데소니드(ICS)와 포모테롤 성분의 의약품이다. 세계천식기구의 천식치료 지침(GINA Guideline)은 성인 및 청소년 천식 모든 단계에서 ICS와 포모테롤을우선 권고[6]한다. 의약품 시장조사 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2019년부터 심비코트는 전 세계 ICS/LABA 흡입제 매출 1위를 기록했다.[7] 풀미코트레스퓰은 기관지 천식, 유아와 소아의 급성 후두 기관 기관지염의 치료에 사용되며[8], 부데소니드(IC
● 김성언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조원경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교수 공동 연구팀 ●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 장기추적 통해 심혈관 질환·신부전 발생·사망 위험 확인 ● 당뇨병 일찍 발병하면 합병증 위험 급격 증가…미국당뇨병학회 공식학술지 게재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에서 심근경색·뇌졸중 같은 심혈관 질환과 신부전 발생 위험은 물론 사망 위험도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성언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와 조원경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NHIS) 표본 코호트(NSC)를 이용해 2006년부터 2019년까지 30세 미만 1형, 2형 당뇨병 환자의 대규모 장기 추적 연구를 진행한 결과를 5일 밝혔다. 연구 결과, 소아 및 젊은 연령의 당뇨병 환자들은 일반인 대비 심혈관 질환(심근경색·뇌졸중)과 신부전, 사망 위험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근경색 발생 위험은 1형 당뇨병 환자에서 6.76배, 2형 당뇨병 환자에서 5.07배 각각 높았다. 뇌졸중 발생 위험도 각각 4.65배, 3.3배 증가했다. 특히 신부전 발생 위험은 1형 당뇨병 환자에서 20.92배나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는 2월 4일(화) 국립암센터 국가암예방검진동 8층 세미나실에서 국제암연맹(UICC)에서 주관하는 세계 암의 날(World Cancer Day)에 동참하는 의미의「Upside Down Challenge」행사를 진행했다. ‘세계 암의 날’은 2000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 암 정상 회의」에서 매년 2월 4일로 지정된 이후, 국제암연맹(UICC)을 중심으로 암 예방과 환자 지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이 지속되고 있다. 국립암센터는 2019년부터 국제암연맹의 파트너 기관으로 활동하며, 2021년부터 캠페인에 동참해왔다. 2025~2027년 테마 「United by Unique」는 국가, 인종, 나이, 소득 등 환경이 달라도 모든 암 환자가 연대해 극복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올해 캠페인 ‘Upside Down Challenge’는 암으로 인해 뒤바뀐 삶을 표현하기 위해 상하반전된 사진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2024년 12월 국립암센터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암 치료 성과는 위암, 대장암, 유방암뿐만 아니라 전체 암에서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생존율을 기록하며, 그간의 노력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