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명대 동산의료원 박형섭 교수 TranslatingRWE: Validating Safety and Effectiveness of NOACs in Clinical Practice 연자 : 계명대 동산의료원 박형섭 교수 금일 자문미팅에서는 최근 발표된 국내 데이터를 중심으로 말씀드리도록 하겠다. Edoxaban inAsia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Effectiveness and Safety Edoxaban이 아시아의 비판막성 심방세동환자에서 warfarin 대비 허혈성 뇌졸중, 출혈,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 더 좋은 결과를 보이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순천향의대 이소령 교수팀에서는 한국 심방세동 환자에서 warfarin 대비edoxaban의 효과와 안전성을 비교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전에edoxaban 관련 데이터만 빠져있었기 때문에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edoxaban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1) Methods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14년1월-2016년 12월까지심방세동 환자 중 edoxaban 및 warfarin 신규사용자를 확인하였고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이영수 교수 Implementing Guidelines: Practical Considerationsfor Improving AF Patients Care with NOACs 연자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이영수 교수 금일 자문미팅에서 말씀드릴 내용은 심방세동 환자에서의 NOAC사용에 대한 것으로, 잘 아시는 것처럼 2018년유럽에서 심방세동 환자 대상 NOAC의 임상 사용에 대한 새로운 가이드라인이 발표되었으며, 국내에서도 유럽 가이드라인과 일부 국내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Edoxabanin EHRA 2018 – NVAF Patients 기존 가이드라인과 마찬가지로2018년 발표된 EHRA (European Heart RhythmAssociation) 가이드라인에서도 비판막성 심방세동(nonvalvular atrialfibrillation, NVAF) 환자의 뇌졸중 예방에 있어 warfarin에 우선하여NOAC을 추천하고 있다. 이 권고사항에 대한 권고등급은class I, 근거수준은 level A에 해당한다. 이는 NOAC의 3상임상연구에서 warfarin 대비 NOAC이 유효성에 대해비열등성을, 안전성에
▲ 동국대일산병원 김유리 교수 NOAC in Korean Real World Data 연자 : 동국대일산병원 김유리 교수 2018년 NOAC과관련하여 국내 RWD (real world data) 2가지가 발표되었다. 서울의대 최의근 교수와 순천향의대 이소령 교수팀에서 발표한 데이터와 연세의대 정보영 교수팀에서 발표한 데이터로두 가지 데이터가 비슷하면서도 차이점이 있어 비교해보고자 한다. 대개 RWD는 대만이나 일본 등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 먼저 발표되는 편인데,edoxaban에 대한 RWD는 한국에서 처음 발표하게 되었다. Edoxaban in Asian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Effectiveness and safety Edoxaban이 아시아의 비판막성 심방세동환자에서 warfarin 대비 허혈성 뇌졸중, 출혈,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 더 좋은 결과를 보이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순천향의대 이소령 교수팀에서는 한국 심방세동 환자에서 warfarin 대비edoxaban의 효과와 안전성을 비교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전에edoxaban 관련 데이터만 빠져있었기 때문에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
▲ 인하대병원 백용수 교수 Implementing EHRA, KHRS Guideline 연자 : 인하대병원 백용수 교수 NOACsin patients with elderly 1) Prevalence, incidence, and projected numberof AF 국내 데이터에 의하면 2015년 기준 심방세동 환자의 유병률은 전체 인구의 1.5% 정도로확인되었으며, 70-79세 고령 인구의 약 6%, 80세이상 고령 인구의 약 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방세동환자의 증가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사망률과 연령에 대해 보정한 결과, 2060년에는 심방세동 환자가전체 인구의 약 5.8%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2) Real world data in Korea Edoxaban이 출시되기 전 데이터를이용하여 국내 심방세동 환자에서 NOAC (non-vitamin K antagonist oralanticoagulant)의 효과와 안전성을 분석한 RWD (real world data)가2017년 Stroke 지에 발표되었다. 허혈성 뇌졸중+두개내출혈, 허혈성 뇌졸중+모든원인에 의한 사망, 허혈성
▲ 세브란스병원 김태훈 교수 BPcontrol in patients with AF 연자 : 세브란스병원 김태훈교수 심방세동 환자에서 고혈압과 혈압 조절이 어떤 의미가 있고, 어떻게조절해야 할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Background 1) CHA2DS2-VAScscoring system 아시다시피 CHA2DS2-VASc 점수가 뇌졸중 위험의 층화에서 사용되는 점수 체계이고, 1년에 1-2% 정도의 뇌졸중 위험은 항응고요법을 해야 하는 역치에해당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내용이다. 1-2점에서 항응고요법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 글로벌 가이드라인이다. 그러나 이 점수체계의 각각의위험인자들에 대한 심화적인 위험도 분석은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가장 흔한 위험인자인고혈압을 살펴보면, HAS-BLED 점수의 경우수축기혈압이 160 mmHg 이상인 경우 HAS-BLEDuncontrolled hypertension으로 분류되는데, CHA2DS2-VASc점수의 경우 고혈압이 1점으로 등록되어 있지만, 고혈압의조절 여부나 수축기혈압 수치, 고혈압 유병 기간 등의 요소는 반영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 서울아산병원 김대희 교수 Which NOAC for Which Patients? in VTE Patients 연자 : 서울아산병원 김대희 교수 정맥 혈전색전증(venous thromboembolism,VTE) 환자에서 NOAC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Definitionof VTE and deep vein VTE는 심재성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과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PE)을 합쳐서 정의한다. 심재성 정맥은 상지(upperlimb)에서는 쇄골하정맥(subclavian vein), 겨드랑이정맥(axillary vein), 상완정맥(brachial vein)을, 하지(lower limb)에서는 총대퇴정맥(common femoral vein), 대퇴정맥, 대퇴심정맥(profunda femoral vein), 오금정맥(popliteal vein),종아리정맥(peroneal vein), 앞정강정맥(anteriortibial vein), 뒤정강정맥(posterior tibial vein)을 의미한다. Incidence of VT
▲ 세브란스병원 유희태 교수 Impact of Renal Function on Outcomes With Edoxaban:In Real-World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연자 : 세브란스병원 유희태 교수 국내 RWD (real-world data)를 이용하여분석한 edoxaban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확인하고, 이러한효과와 안전성이 신기능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Re-defining‘RWD’ within the broader data universe 앞서 조민수 교수님께서 발표해주신 내용과 더불어 최근 다양한 RWD 문헌이 발표되고 있다. 무작위 대조 연구와 달리 RWD는 덜 정제되어 있고, 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 여러 가지 편향과교란변수를 고려해야 한다는 주의사항이 있는 반면, RCT 결과로는 파악할 수 없는 실제 진료 현장에서고민이 되는 부분이 녹아 있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현실을 잘 반영하고 여러 가지 요소에 대해 경제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에서도 여러 연구팀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좋은 데이터를 많이 발표하고 있는
▲ 서울아산병원 조민수 교수 Translating RWE: Validating Safety andEffectiveness of NOACs in Clinical Practice 연자 : 서울아산병원 조민수교수 최근 NECA (National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와 같이 한국인 전수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표준용량과저용량 NOAC (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의임상 데이터를 발표한 바 있어 이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Background 1) Asians in pivotal RCTs 여러 핵심 무작위 대조 연구(pivotalrandomized controlled trial)를 통해 NOAC은 비판막성 심방세동환자에서 우월한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핵심 무작위 대조 연구에서 아시아 환자는전체 연구 집단의 10-15% 정도로 적은 비율을 차지하였기 때문에 아시아/동아시아 집단에서 NOAC의 상대적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해서는 여전히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NOAC의 핵심 무작위 대조 연구에서아시아 환자의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