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of ARB + Statin on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연자:삼성서울병원 한주용 교수 죽종과 심혈관 사건 Nicholis 등의 연구에 따르면 관상동맥 죽종의 부하가 클수록 심혈관 사건의 위험이 높고 생존율이 떨어진다고 한다. MACE를 갖고 있는 환자일수록 죽종 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국 MACE 유무에 따라 MACE가 있는 경우 죽종의 부피가 크고, 이를 억제하는 약물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osuvastatin과 죽상동맥경화증 Rosuvastatin의 METEOR, ASTEROID, ORION, COSMOS, SATURN 연구가 죽상경화증에 대한 연구이고 이 중 ASTEROID, COSMOS, SATURN이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ASTEROID 연구는 CAD 환자에서 rosuvastatin 40 mg의 장기간 치료 후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349명을 대상으로 2주차와 104주차에 IVUS를 실시하였다. Rosuvastatin 치료 후 LDL-C이 53.5% 감소하였고, HDL-C은 13.8%
제2형 당뇨병 환자에 있어 새로운 SGLT2 억제제, Ipragliflozin의 효과와 안전성 연자:서정철내과 서정철 원장 SGLT2 억제제 및 당뇨병 치료의 최신 가이드라인 기존 약제와는 다른 새로운 약제로 SGLT2 억제제가 개발되었고, SGLT2 억제제는 신장에서 당의 재흡수를 억제시킨다. 정상인의 경우 신장을 통해 여과되는 포도당은 모두 재흡수가 된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여과되는 포도당의 양이 정상인보다 많고, 포도당 재흡수량이 증가한다. SGLT2는 신장 근위부에 존재하며 당의 재흡수를 관장하는데 SGLT2 억제제는 신장의 포도당 재흡수를 억제하고 요 배출을 증가시켜 혈중 포도당의 농도를 감소시킨다<그림 1>. SGLT2 (sodium-glucose co-transporter-2) 억제제의 기원은 사과나무줄기껍질에서 추출된 phlorizin이다. 19세기 초반에 phlorizin을 사용한 결과 소변이 잘 나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T-1095와 sergliflozin 등이 포함된 1세대 SGLT2 억제제가 개발되었으나 짧은 반감기 때문에 개발이 중단되었고, glycosidase에 저항력이 있는 제2세대 SGLT2 억제제인 ipra
ENGAGE AF-TIMI 48 하위분석 연자: 김원묵기념봉생병원 배우형 과장 Edoxaban 또는 warfarin과 항혈전 치료의 병용ENGAGE AF-TIMI48의 하위그룹 분석 결과로 edoxaban 또는 warfarin과 항혈전 치료를 함께 사용했을 때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J Am Heart Assoc, 2016). 본 연구에서 항혈전 치료의 92%는 aspirin이었다. Primary outcome은 뇌졸중 및 SEE (유효성), ISTH 주요 출혈(안전성), 뇌졸중, SEE,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주요 출혈 전체(net clinical outcome)로 평가하였다.항혈전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환자 14,997명, 항혈전 치료를 시행한 환자 4,912명을 평가하였다. 환자 특성에서 항혈전 치료군은 남성이 더 많았고, CHADAS2 score 4 이상, HAS-BLED score 3 이상인 비율이 더 높았다. 항혈전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군에 비해 항혈전 치료군은 MI 과거력, 관상동맥재형성 관거력, 말초질환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항혈전 치료를 함께 시행한 비율을 인종별로 분석한 결과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아프리카 지역에서 높았으며 30
말초동맥질환 중재시술의 새로운 변화 연자: 부산보훈병원 김수홍 분과장 말초동맥질환은 인구의 고령화와 심장 및 대사질환의 증가로 인해서 그 빈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고, 혈관재개통술로 치료될 수 있다. 표재성 대퇴동맥(superficial femoral artery, SFA)의 동맥경화성 병변이 파행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표재성 대퇴동맥의 협착 및 폐쇄는 하지의 혈류장애를 초래하여 종아리 부위의 허혈성 통증을 유발한다. 허혈성 안정시 통증, 조직의 손실이 있는 경우 임계 하지 허혈(clitical limb ischemia, CLI)이라고 하며, 이 경우에는 대퇴동맥뿐만 아니라 무릎 아래 동맥의 폐쇄 병변을 동반하는 경우가 흔하다. 1964년 Charles Dotter에 의해서 처음 대퇴동맥의 중재시술이 시행된 이후 많은 발전을 하여 무릎 위 병변의 경우에는 일반 풍선확장술을 시행한 후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 방법이 되었다. 하지만 여러 의료기기의 발전으로 치료방법에서 새로운 방법들이 대두되고 있다. 표재성 대퇴동맥의 동맥경화성 병변을 치료하는 경우 풍선확장술(plain old balloon angioplasty, POBA), 일반 금속 스
ENGAGE AF-TIMI 48 Subanalysis 연자:삼성창원병원 강지훈 교수 ENGAGE AF-TIMI 48 연구의 하위분석 결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항혈전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 있어 Edoxaban 또는 Warfarin의 치료 ENGAGE AF-TIMI 48의 하위그룹 분석 결과로 edoxaban 또는 warfarin과 항혈전 치료를 함께 사용했을 때 각각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J Am Heart Assoc, 2016). ENGAGE AF-TIMI 48연구에서는 이중 항혈전 요법을 금지하고 있었고, 항혈전 요법의 92%는 아스피린을 사용하였다. 무작위 배정시에 약 30%가 항혈전 요법을 병용하고 있었고, 3개월 시점 이후부터는 25% 정도가 항혈전 치료를 유지하였다<그림 1>. 무작위 배정 후 3개월 시점에 항혈전 치료의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포함시켜 분류하였다. 환자 특성에서 당뇨병, 심근경색후, 말초혈관질환, CAD 등의 기저 질환을 동반한 경우 항혈전 치료를 병행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뇌졸중 및 TIA 기왕력에서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인종별로 살펴보면 북미 환자가 38% 정도로 가장 높고, 아시아/아프리카
ENGAGE AF-TIMI 48 연자:계명대 동산병원 홍정호 교수 Edoxaban은 direct factor Xa inhibitor로 1일 복용으로 24시간 thrombin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Edoxaban은 흡수가 빠르고 생체이용률이 우수하다. 또 다른 장점으로 CYP450 효소의 대사를 거의 받지 않아 약물상호작용의 우려가 적고, 음식물 섭취와 무관하게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렇기 때문에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그림 1>. ENGAGE AF-TIMI 48 연구는 2만 명이 넘는 NVAP 환자들을 edoxaban 60 mg, edoxaban 30 mg, warfarin 세 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였고, edoxaban 두 군에서 기준에 따라 약물의 용량을 조정하였다. ENGAGE AF-TIMI 48 연구는 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신기능 장애(CrCl 30-50 mL/min), 저체중(≤60 kg/132 lbs), P-glycoprotein (P-gp) inhibitors (verapamil, dronedarone, quinidine)를 병용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edoxaban의 용량을 반으로 감량하도록 하였다.
ENGAGE AF-TIMI 48 연자: 청주하나병원 김명현 과장 심근경색이나 뇌경색 등 환자의 심·뇌혈관질환, 혈전색전증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항혈전제(항혈소판제, 항응고제) 시장이 계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강자로 항혈소판제인 클로피도그렐과 항응고제인 비타민K길항제 와파린 이후 지속적으로 약제들이 개발되어 시장에 출시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유일하게 비판막성 심방세동에 급여를 인정받은 세 번째 factor Xa 억제제인 에독사반에 대해 간략하게 말씀 드리겠습니다.전세계 역학분석 자료에 따르면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 환자는 대략 3,350만 여명으로 추정되며, 매년 증가 추세입니다. 심방세동은 뇌졸중의 주요한 위험인자로서, 심방세동 환자가 비심방세동 환자에 비하여 뇌졸중 위험이 5배 높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뇌졸중은 환자의 나이나 고혈압, 당뇨, 심부전, 뇌졸중 기왕력과 같은 동반질환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registry 연구에 따르면,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25%는 심방세동이 원인 질환이었으며, 1년 간 뇌졸중 재발률을 추정했을 때, 심방세동 환자들은 비심방세동 환자들에 비하여 더